초조성 다리 증후군(Restless Leg Syndrome)의 개념
가만히 앉아 있거나 눕거나 자려고 할 때 다리에 느껴지는 불편하거나 불쾌한 감각으로 인해 다리나 팔 등을 움직이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초조성 다리 증후군의 진단기준
초조성 다리 증후군 진단기준 | |
1 | 다리에 불편하고 불쾌한 느낌이 들어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을 느끼며 다음의 3가지 증상들이 모두 나타난다. ① 휴식 중 혹은 움직이지 않는 동안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시작되거나 악화된다. ② 움직이면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사라진다. ③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악화되거나 저녁이나 밤에만 충동을 느낀다. |
2 | 위 1의 증상들이 일주일에 최소 3회 이상 발생하고 3개월 이상 지속된다. |
3 | 이러한 행동이 사회적, 직업적, 학업적, 기타 중요한 기능상의 심각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초조성 다리 증후군의 증상 및 특징
- 잠을 자거나 휴식하는 중에 다리나 신체 일부에 무언가가 기어가는 듯한 간지럽거나 불쾌한 감각을 느낌으로 다리나 몸을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 증상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수면을 방해받게 되어 수면의 질이 낮아지고 낮 시간의 기능 수준이 저하된다.
- 유병률은 2~7.2% 정도이며 주로 40대 이상에서 나타난다.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를 가진 사람들 중 44%가 초조성 다리 증후군을 나타내었다.
- 우울장애나 불안장애와의 공병률이 높다.
초조성 다리 증후군의 원인
생물학적 요인
도파민 수준 저하
초조성 다리 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평상시의 도파민 수준이 정상인보다 높아서 도파민 수용체들이 둔감화되는데, 밤 시간에는 도파민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도파민 수준의 저하로 인해 팔다리의 떨림이나 어색한 감각을 느끼게 된다.
철분 결핍
철분 결핍도 초조성 다리 증후군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유전적 요인
유전적 취약성이 위험요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
초조성 다리 증후군의 치료
약물치료
- 도파민의 전구물질을 투여하거나 철분을 투여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항불안제를 투여한다.
심리치료
이완치료, 최면술, 심리치료 등이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준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17 |
---|---|
이식증(급식 및 섭식장애)의 개념, 증상 및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17 |
REM 수면 행동장애(렘수면 행동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2) | 2022.09.16 |
숙면/건강한 수면 습관을 위한 지침 (4) | 2022.09.16 |
악몽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악몽장애와 수면중 경악장애의 비교 (0) | 2022.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