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이식증(급식 및 섭식장애)의 개념, 증상 및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by 감사와 기쁨 2022. 9. 17.
반응형

이식증(pica)의 개념

영양가가 없고 먹어서는 안 되는 흙, 종이, , , , 치약, 비누, 머리카락 등을 최소한 1개월 이상 습관적으로 먹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식증의 증상 및 특징

- 3세 이후에도 먹을 수 없는 것을 입에 대거나 먹는 것이 1개월 이상 지속된다.

- 유아와 어린 아동은 종이, , 머리카락, , 회반죽, 흙 등을 주로 먹고, 나이가 더 든 아동은 동물의 배설물, 모래, 곤충, 나뭇잎, 자갈 등을 먹기도 한다.

- 가장 큰 문제는 영양상태 불량으로 빈혈, 전해질 불균형, 기생충 감염, 장폐색, 치아손상, 경련성 질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이식증 환자의 약 30%는 납중독이 있으며, 그로 인해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지적 장애, 경련성 질병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주로 4세 미만의 어린 아동에게서 나타나지만 학령기 이전에 발생하여 청소년기까지 지속될 수 있고 드물게는 성인기까지 지속된다.

- 대부분 지적장애를 동반하며 지적 장애가 심할수록 이식증의 빈도도 증가한다.

- 성인도 지적 장애나 다른 정신장애와 관련되어 이식증이 나타날 수 있다.

- 임신을 하면 평소에 먹지 않던 생소한 음식이나 영양분이 없는 별난 물질을 원하기도 하는데 심하면 녹말가루, 냉장고의 서리, 진흙이나 먼지까지 먹는 경우가 있다.

- 대부분 몇 개월 동안 지속되다가 완화된다.

 

이식증의 진단기준

  이식증의 진단기준
1 비영양성 물질이나 비음식 물질을 최소한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먹는다.
2 비영양상 물질이나 비음식 물질을 먹는 것이 개인의 발달수준에 부적절하다.
3 먹는 행동이 문화적 지지를 받지 못하거나 사회적으로 허용된 관습의 일부가 아니다.
4 만약 먹는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나 임신 등의 의학적 상태의 경과 중에만 나타난다면, 이 행동은 별도의 임상적인 관심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것이어야 한다.

 

이식증의 원인

 

지적장애

지적 장애가 심할수록 이식증의 빈도도 증가한다. 장기간 수용된 지적 장애 아동의 25%가 이식증을 나타내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특정 감각이 발달되어 한 가지에만 집착하는 증상을 보이는데, 일부 아동은 필요 이상으로 식욕 감각이 발달되어 이식증과 같은 이상 섭취 증상을 보인다.

 

열악한 가정환경

부모의 관심 부족과 감독 소홀, 가정의 경제적 빈곤, 열악한 가족관계, 부모의 무지와 무관심, 부모의 우울증, 모성 박탈, 방임과 학대, 가족의 혼란, 아동의 발달지체 등이 발병 위험요인이다. 이러한 열악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다.

 

영양결핍

비타민이나 미네랄, 아연 등의 영양결핍, 특히 철분 결핍에 의해서 유발된다.

 

구순기의 욕구 불충족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이식증을 구순기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식증의 치료

부모의 관심과 돌봄 등 정서적인 양육이 치료에 가장 효과적이며, 환경치료, 행동치료, 가족 상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치료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 이식증 아동은 양육환경이 좋지 못해 잘못된 식습관 행동을 고쳐줄 사람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준다.

- 부모나 양육자가 이식증의 위험을 제대로 파악하고 아동이 먹는 것에 대해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적절하게 돌볼 수 있도록 교육시킨다.

- 영양 결핍이 원인이라면 결핍된 영양분을 보충해준다.

- 납중독 등의 합병증이 있을 때에는 내과적인 치료를 해준다.

- 지적 장애가 있을 때에는 이식증을 나타내는 대상을 가까이에 두지 않도록 치워놓는다.

- 약한 전기 자극 또는 불쾌한 소리, 구토제 등을 이용한 혐오 치료를 적용하면 단기간 내에 증상이 호전된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학지사.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