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by 감사와 기쁨 2022. 9. 17.
반응형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의 개념

체중 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 때문에 현저한 칼로리 섭취 제한이나 거부로 체중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되어 정상체중보다 최소한 15% 이상의 체중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기준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기준
1 필요한 것에 비해 음식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나이, 성별, 발달 수준, 신체적 건강에 비추어 심각한 저체중 상태이다. 심각한 저체중은 최소한의 정상 수준에 미달하거나아동청소년의 경우 예상되는 최소한의 수준에 못 미치는 것이다.
2 심각한 저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나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갖고 있거나 체중증가를 방해하는 지속적인 행동을 한다.
3 체중과 체형을 왜곡하여 인식하고 체중과 체형이 자기평가에 지나친 영향을 미치거나 현재의 체중미달의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부인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증상 및 특징

- 음식에 혐오를 느끼고 자신의 연령과 키에 비해 최소한의 체중만을 유지하려 하며 이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양 이상은 먹지 않으려고 한다.

- 체중을 더 줄이거나 더 이상 살찌지 않기 위해서 체중조절에 대해 과하게 걱정하고 집착한다.

- 비정상적으로 말랐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뚱뚱하다고 지각하는 왜곡된 신체상을 가지고 있다.

- 비정상적으로 낮은 체중을 유지함으로써 나타나는 위험성에 대해 인식하지 못한다.

- 성장하면서 정상적으로 증가된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제거하려고 극심한 다이어트와 과도한 운동을 한다.

- 초기의 체중 감량 목표가 성취된 이후에도 주위의 염려와 상관없이 체중 감량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 초경 이후에 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평균 발병 연령은 17세이다.

- 90% 이상이 여성이며 청소년기 여성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 한국 청소년 여학생의 10.9%가 자신의 체중과 체형에 불만을 갖고 음식 섭취를 감소하려고 노력한다.

- 대학 입학 후 혼자 생활하다가 어려움을 겪게 될 때 나타날 수 있다.

- 발레나 모델과 같이 비현실적으로 마른 체형의 유지를 강조하는 직업을 갖고 있는 젊은 여성들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 굶으면서도 하루의 대부분을 음식에 대해 생각하거나 말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 정성들인 식사를 준비하기도 한다.

- 음식량의 감소 또는 거부, 과도한 운동이나 활동, 먹은 음식을 토하거나 설사제, 이뇨제를 사용하여 필사적으로 체중감소를 위해 노력한다.

- 우울한 기분에 잠겨 있고 짜증을 잘 내며 대인관계를 회피하고 성욕이 상실된다.

- 공부나 일에 거의 강박적으로 집중하는 경우도 있다.

- 내성적이고 모범적이며 완벽주의적인 여자 청소년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음식을 고집스럽게 거부함으로 부모와의 갈등 발생 및 사회적으로 고립된다.

- 자신에게 억지로 음식을 먹게 하려는 외부의 노력을 강력히 거부하거나 음식을 먹는 척하며 몰래 버리는 기만적 행동을 한다.

- 음식을 절제하다가 가끔 과식을 한 후 토하거나 설사제, 이뇨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건강상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 무월경, 변비, 복통, 추위에 대한 내성 저하, 무기력감, 심각한 저혈압, 저체온, 피부건조증, 잦은 구토로 인한 치아 부식, 구토 유도 시 손 사용으로 손등 흉터, 빈혈, 신장기능장애, 골다공증, 심혈관계장애 등 다양한 신체적 문제가 발생한다.

- 기아, 자살, 전해질 불균형 등으로 사망 위험성이 높다.

- 신경성 식욕부진증이 있는 젊은 여성은 일반 젊은 여성보다 자살할 가능성이 8배 높다.

- 환자의 14%가 합병증이나 자살로 사망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원인

 

정신분석적 입장

- 육체적 성숙과 성적 욕구에 대한 방어 및 독립된 존재로 진정한 자기를 쟁취하려는 시도이다.

 

행동주의적 입장

- 일종의 체중 공포증으로, 음식섭취를 감소함으로 체중 공포를 감소시키려는 부적 강화이다.

 

인지적 입장

- 자신의 신체에 대한 왜곡된 지각 및 몸매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때문이다.

- 날씬한 몸매가 성공과 애정을 얻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 성취나 관계 실패를 몸매와 체중에 잘못 귀인하기 때문이다.

 

생물학적 입장

- 유전(일란성 쌍둥이의 46%)의 영향 및 시상하부의 이상으로 식욕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회문화적 입장

- 날씬한 몸매를 선호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때문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치료

 

입원 치료

- 정상체중에서 30% 이상 감소하였거나 심한 절식 행동을 나타낼 경우 영양실조와 합병증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 음식 섭취로 체중을 증가시키고 건강한 섭식 습관을 형성한다.

- 체중 증가 행동은 다양한 강화를 주고 체중 감소 행동은 부정적인 처벌을 받게 한다.

- 영양사와 함께 건강한 섭식 습관과 영양에 대해 의논하고 계획해 준 식단에 맞추어 섭취하다가 스스로 식사계획을 세우게 한다.

- 체중이 늘게 되면 신체상에 대한 왜곡과 불만족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신체상에 대한 둔감화나 비합리적 신념과 인지적 왜곡에 도전하는 등의 인지행동적 기법을 적용한다.

- 우울증과 같은 이차적 정신병리가 동반되거나 생활 스트레스가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음을 가족들에게 인지시키고 건강한 부모 자녀 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심리치료

- 신체상에 대한 왜곡, 음식 섭취의 억제, 사회적 적응 문제에 초점을 둔다.

- 강요하거나 지나친 관심을 배제하여 음식 섭취에 대한 불안을 털어놓을 수 있게 한다.

- 자주 조금씩 음식을 섭취하도록 도와주고, 제어 기능을 상실한다는 공포 해결 및 지나치게 체중을 증가시키지 않을 것임을 확신시킨다.

- 생활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능력을 향상시킨다.

 

약물치료

- 식욕 자극제를 처방하거나 우울증 동반 시 항우울제를 사용한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학지사.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2(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