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REM 수면 행동장애(렘수면 행동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by 감사와 기쁨 2022. 9. 16.
반응형

렘수면 행동장애의 개념

렘수면(꿈을 꾸는 얕은 잠) 중 꿈의 일부를 이야기하거나 소리 지르기 및 동침자를 다치게 할 수 있는 복합적 동작의 행동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며 깨어나는 경우이다.

 

렘수면 행동장애의 진단기준

  렘수면 행동장애 진단기준
1 수면 중 반복적으로 각성이 일어나 소리를 내거나 복합적 움직임이 나타난다.
2 이러한 행동은 렘수면 중에 나타나므로 보통 잠든 후 90분 이상 지나서 시작하게 되고 후반부에 더 자주 나타난다. 드물게는 낮잠을 자는 동안에도 나타난다.
3 이러한 행동 후에는 완전히 잠이 깨어 혼란없이 명료한 의식을 되찾는다.
4 다음 중 1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수면다원검사 결과 무긴장증이 없는 렘수면으로 근육 움직임 가능
렘수면 행동장애를 시사하는 과거력 및 확정된 시누클레인증(synucleinopathy)에 의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단(파킨슨병, 다기관위축증 등)
5 이러한 행동이 사회적, 직업적, 학업적, 기타 중요한 기능상의 심각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6 이러한 장해가 물질(남용 약물, 투약 약물)이나 다른 의학적 질환의 생리적 효과들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7 이러한 행동이 공존하는 다른 정신장애나 의학적 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렘수면 행동장애의 증상 및 특징

- 꿈의 내용을 행동으로 옮기려고 소리 지르기, 주먹으로 치기, 발로 차기, 침대에서 뛰어내리기 등을 나타내며 때로는 심각한 신체적 손상을 초래한다.

- 이러한 행동을 한 후에는 완전히 깨어나서 명료한 의식을 되찾게 되며 의식의 혼란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 이러한 행동은 전형적으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나타나지만, 연속해서 며칠 간 매일 하루에 여러 번 나타날 수도 있다.

- 50대 이상의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 환자는 창피함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혼자 침실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렘수면 단계에서는 전신근육이 이완되어 마비될 정도로 근육 활동이 중단되기 때문에 꿈속에서 몸을 움직이더라도 실제 행동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이러한 근육의 마비는 꿈꾸는 사람이 꿈을 갑자기 행동화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해 준다.
그러나 렘수면 행동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흔히 뇌간의 노화나 뇌의 퇴행성 질환으로 인해 수면 중에도 전신근육의 긴장도가 떨어지지 않거나 불완전하여 깨어있을 때처럼 팔다리를 움직일 수 있다. 그로 인해 꿈을 꾸는 동안에도 소리를 지르거나 주먹으로 때리고 발로 차는 등 꿈속의 행동을 실제로 행하게 되어 잠재적으로 자기나 동침자의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렘수면 행동장애의 원인

 

신경퇴행성 질환

파킨슨병, 치매, 루이소체 질환, 다기관위축증 등 신경퇴행성 질환의 결과로 노령자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파킨슨병 초기 징후

파킨슨병 발달의 초기 징후일 수 있다.

 

뇌의 노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뇌의 노화가 진행되고 수면 중 신경과 근육조절에 이상이 생기면서, 수면 중에 전신근육의 긴장도가 떨어지지 않아 깨어 있을 때와 같이 팔다리를 움직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약물의 부작용

알코올, 수면제, 신경 안정제와 같은 특정 약물의 남용 및 금단 증상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불안, 초조, 압박감, 좌절 등 스트레스가 심한 사건의 경험이 증상의 시작 및 유지와 관련된다.

 

렘수면 행동장애의 치료

 

약물치료

렘수면 억제제를 비롯한 약물치료를 통해서 대부분 효과적으로 치료된다.

 

심리치료

-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이길 수 있는 대처방법 및 긴장이완훈련을 교육시키고 명상 등도 적용시킨다.

- 침실에서 깨지기 쉬운 물건이나 다치게 할 수 있는 물건을 치우는 등 수면위생도 관리한다.

- 침대보다는 안전한 바닥에서 자게 하고 일어나서 움직일 때 넘어지지 않도록 장애물이 될만한 것들을 치워놓는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2(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