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혈관성 치매의 개념
뇌혈관 질환에 의해 뇌 안으로 흐르는 혈액의 양이 줄거나 막혀 치매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혈관성 치매의 진단기준
혈관성 치매의 진단기준 | |
1 |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
2 | 임상적 특징은 다음 중 하나가 제시하는 바와 같이 혈관성 병인과 일치해야 한다. ① 인지 결함의 시작이 하나 이상의 뇌혈관 사건과 시간적으로 연결된다. ② 복합적 주의와 전두엽 집행 기능에서의 저하 증거가 뚜렷하다. |
3 | 과거력, 신체검사, 뇌영상검사에서 신경인지 결함을 설명하기에 충분한 뇌혈관질환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
4 | 증상들은 다른 뇌질환이나 정신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
*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 장애의 진단기준/알츠하이머형 치매
https://karapko.tistory.com/130
혈관성 치매의 증상 및 특징
- 전체 치매 환자의 20~30%이고, 알츠하이머형 다음으로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 유병률은 미국의 경우 65~70세는 0.2%, 70~80세는 13%, 80세 이상은 16%, 90세 이상은 44.6%이다.
- 뇌졸중이 발생한 이후 3개월 이내에 20~30%가 치매로 진단된다.
- 인지능력이나 정신능력이 조금 나빠졌다가 유지되고, 다시 조금 더 나빠졌다가 유지되는 식의 단계적 악화 양상을 보인다.
- 알츠하이머형 치매와는 달리 감정이나 성격은 말기 전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 알츠하이머형 치매보다 더 이른 시기에 발병하고 더 늦게 사망한다.
- 알츠하이머형 치매보다 급격하게 시작되고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국소 신경학적 증상을 많이 나타낸다.
- 팔, 다리, 안면 등에 마비가 오거나 언어장애, 보행장애, 시야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다.
-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심장질환, 흡연, 알코올 의존, 뇌졸중의 위험인자로 유발되기 때문에 초기에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더 이상의 악화는 막을 수 있다.
혈관성 치매의 원인
반복되는 뇌졸중(중풍), 동맥성 고혈압, 뇌출혈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파킨슨병 치매(Parkinson’s disease dementia)
파킨슨병 치매의 핵심 증상
가만히 있을 때 손발 떨림 | 몸과 팔다리가 어둔하고 경직 |
보폭이 줄고 움직임이 느림 | 말이 어눌함 |
몸의 균형을 잃는 증상(평형감각 이상, 자세 불안정) |
파킨슨병 치매의 임상적 특징
- 후각기능을 상실한 80%, 잠꼬대가 심한 REM 수면 장애의 50%에게 파킨슨병이 발병하였다.
- 변비, 우울증, 수면장애 등이 동반된다.
- 천천히 진행되고 디스크, 관절염 등과 증상이 비슷해서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기 쉽다.
- 유병률은 모든 산업국가에서 일반 인구 중 0.3%, 60세 이상은 1%, 80세 이상은 4% 정도이다.
- 평균 발병 연령은 50~70세 사이이다.
- 환자의 75%가 질병 경과 중에 주요 신경인지장애의 진단기준에 해당되는 증상들을 나타낸다.
-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약물의 효과가 떨어지고 증상도 악화되며,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9~10년 이내에 사망한다.
파킨슨병 치매의 원인
- 유전적 요인, 단백질 기능 이상, 노화가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 특히 서서히 진행되는 신경학적 손상, 즉 추체외로계의 퇴행성 질환에 의한 도파민 분비 저하로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한다.
- 도파민 분비량이 70% 정도 줄게 되면 손발 떨림 등의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
파킨슨병 치매의 치료
- 감소된 도파민을 보충해주는 약물들을 사용하거나 도파민 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뇌에 자극을 주는 ‘뇌심부자극술’이 적용된다.
- 근력 감소를 최소화시키고 원활한 신체활동을 돕기 위해 운동치료를 병행한다.
치매 예방 수칙
치매는 완치가 안 되기 때문에 발병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인자를 조절해 줌으로써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한 식습관 | 두뇌 사용 | 신체 활동 |
사회 활동 | 심장 돌보기 | 숙면 |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외 2인(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노조절장애/간헐적 폭발성 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7 |
---|---|
적대적 반항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6 |
치매/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주요 및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진단기준 (0) | 2022.09.25 |
섬망(급성 착란 상태, 급성 뇌증후군, 대사성 뇌증, 독성 정신병, 일몰증후군)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5 |
틱 장애의 개념, 증상(운동 틱, 음성 틱), 유형(뚜렛 장애, 음성 틱 장애, 일시성 틱 장애), 진단기준,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4)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