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 장애(Tic Disorders)의 개념
자신도 모르게 얼굴, 목, 어깨, 팔, 다리 등을 빠르게 반복적이며 비율동적으로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갑자기 이상한 소리를 내는 부적응적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틱 장애의 증상
운동 틱(motor tic)
- 단순 운동 틱(simple motor tic)
하나의 근육집단이 수축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가장 흔한 것이 눈 깜박임, 어깨 들썩이기, 얼굴 찡그리기이다.
- 복합 운동 틱(complex motor tic)
여러 근육 집단의 수축과 관련되는 것으로 특이한 얼굴 표정 짓기, 어깨 들썩이기, 손 냄새 맡기, 남의 행동 따라하기 등이 있다.
음성 틱(vocal tic)
- 단순 음성 틱(simple vocal tic)
- 복합 음성 틱(complex vocal tic)
운동 틱 | ‣얼굴 눈 깜박이기, 눈알 굴리기, 얼굴 찡그리기, 미간 찌푸리기, 입술 빨기, 입 내밀고 삐죽거리기, 입 벌리기, 입맛 다시기, 입으로 머리카락 훅 불기, 코 찡그리기, 특이한 얼굴표정 짓기, 침 뱉기 ‣몸 머리 흔들기, 머리 휘젓기, 어깨 들썩이기, 어깨 움츠리기, 목을 경련하듯이 갑자기 움직이기, 긴장한 듯 목을 꼿꼿이 세우기, 물건 만지작거리기, 손 냄새 맡기, 남의 행동 흉내내기, 갑자기 점프하기, 발 구르기, 손짓하는 행동, 자해나 외설적 행동하기 |
음성 틱 | ‣단순 음성 틱 헛기침하기, 킁킁 소리내기, 코 훌쩍거리기, 트림하기, 침 뱉는 소리내기, 꿀꿀거리기, 끙끙거리기, 콧바람 불기, 짖기 ‣복합 음성 틱 상황과 관계없는 엉뚱한 단어나 구절을 반복하기, 남의 말 따라하기, 외설적인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욕설하기, 동어반복증(자신만의 소리나 단어 반복하기), 반향언어증(마지막으로 들은 소리, 단어, 구절 반복하기) |
틱 장애의 유형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
- 다양한 운동 틱과 한 가지 이상의 음성 틱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로, 틱 장애 중에서 가장 심각한 유형이다.
뚜렛장애의 진단기준 | |
1 | 여러 가지 운동성 틱과 한 가지 이상의 음성 틱이 반드시 동시에 나타나지는 않더라도 장애의 경과 중 일부 기간 동안 나타난다. |
2 | 틱 증상은 자주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지만 처음 틱이 발생한 이후 1년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3 | 18세 이전에 발병한다. |
4 | 장해는 물질이나 다른 의학적 질환의 생리적인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
- 뚜렛 장애에서 틱은 운동 틱과 음성 틱이 함께 존재하면서 복합적으로 같이 나타나거나 교차하면서 나타난다.
- 운동 틱이 나타나는 신체부위나 빈도 및 심각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 초기에는 흔히 얼굴이나 목에 나타나고 어깨, 팔, 몸통, 등, 다리 등 점차 아래쪽으로 진행해 나간다.
- 심한 경우 로봇이 춤을 추듯 복잡한 형태의 틱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 틱은 갑자기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일상생활이나 학교생활에서 심각한 지장이 초래된다.
- 유병률은 학령기 아동 1,000명 당 3~8명 정도로 추정되며 남자가 2~4배 정도 더 많다.
- 발병은 대부분 아동기 또는 초기 청소년기에 발생하고 18세 이전에 진단된다.
- 평균 발병 연령은 운동 틱은 7세이고 음성 틱은 11세이다.
-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며 오랜 기간 지속되는데, 청소년기와 성인기에는 줄어들며 성인기 초기에 완전히 소실되기도 한다.
지속성 틱 장애/음성 틱 장애(Persistent Tic Disorder)
- 운동 틱이나 음성 틱이 1년 이상 거의 매일 또는 간헐적으로 하루에도 몇 번씩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지속성 틱 장애/음성 틱 장애의 진단기준 | |
1 |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운동 또는 음성 틱이 장애의 경과 중에 존재하지만, 운동틱과 음성 틱 둘 다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
2 | 틱 증상은 자주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지만 처음 틱이 발생한 이후 1년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3 | 18세 이전에 발병한다. |
4 | 장해는 물질이나 다른 의학적 질환의 생리적인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
- 운동 틱과 음성 틱이 함께 나타나지는 않는다.
- 운동 틱의 경우 틱이 얼굴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팔, 다리나 몸통에 나타나는 경우보다 예후가 좋다.
- 6~8세에 발병하여 4~6년 지속되다가 초기 청소년기에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 18세 이전에 진단되며, 유병률은 학령기 아동에서 1~2% 정도이다.
일시성 틱 장애(Provisional Tic Disorder)
- 운동 틱이나 음성 틱이 최소 4주 동안 거의 매일 하루에 여러 번씩 나타나지만 연속적으로 1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일시성 틱 장애의 진단기준 | |
1 |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운동 틱 또는 음성 틱이 있다. |
2 | 틱이 처음 발병한지 1년 미만이다. |
3 | 18세 이전에 발병한다. |
4 | 장해는 물질이나 다른 의학적 질환의 생리적인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
5 | 뚜렛 장애 또는 지속성 틱 장애/음성 틱 장애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아야 한다. |
- 18세 이전에 진단되며 남자가 3배 정도 더 많고 초등학생의 5~24%가 틱에 대한 과거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된다.
틱 장애의 임상적 특징
- 틱의 증상이 매우 많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알아채기 어렵다.
- 틱은 아동에서 매우 흔한 증상이다.
- 전체 아동의 10~20%가 일시적인 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주로 7~11세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 모든 형태의 틱은 흥분, 긴장, 피곤 상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악화되며, 기분 좋고 흥분되는 사건도 악화 요인이 될 수 있다.
- 개인의 큰 생활사건보다는 일상생활의 사소한 변화가 틱에 영향을 더 많이 준다.
- 틱은 모든 수의근에서 일어날 수 있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없어지거나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다시 나타나기도 하며, 신체의 다른 부위로 옮겨 가기도 한다.
- 만성적일 경우 학습장애나 우울증, 불안 등의 다른 정신장애로 발전되기도 한다.
- 불수의적(비의도적)이고 저항할 수 없는 것으로 경험되지만 경우에 따라 일시적으로 억제될 수도 있다.
틱 장애의 원인
유전적‧신경학적 요인
- 유전적인 영향이 크며 뚜렛장애를 가진 엄마의 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비율이 높다.
- ADHD, 강박장애와 관련성이 높아서 공통적인 유전 요인이 작용한다.
-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과잉활동에서 기인한다.
심리적 요인
- 긴장과 불안 등 심리적 스트레스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 과도한 학습부담, 한가족 한 자녀로 인한 지나친 기대와 관심, 패스트푸드와 같은 인공 및 가공식품 중심의 불균형한 영양상태 등이 유발과 악화요인이 될 수 있다.
틱 장애의 치료
아동이나 청소년 틱 장애의 30% 정도는 1년 이내에 증상이 저절로 사라지기 때문에 당장 치료를 시도하기보다는 진행과정을 지켜보는 것이 좋다.
약물 치료
- 중등도 이상의 심각도를 가진 틱에서는 도파민 억제제가 일관되게 강력한 효과를 나타낸다.
- 항정신약물도 많이 사용되나 증상이 가벼울 때는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행동 치료
- 습관 반전 훈련과 노출 및 반응 방지 훈련이 틱의 심도와 빈도를 완화해 준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주요 및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진단기준 (0) | 2022.09.25 |
---|---|
섬망(급성 착란 상태, 급성 뇌증후군, 대사성 뇌증, 독성 정신병, 일몰증후군)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5 |
상동증적 운동 장애(정형적 동작 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4 |
발달성 운동협응 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특징, 원인, 치료 (2) | 2022.09.24 |
특정 학습장애(학습부진, 학업기술장애, 학업기능장애)의 개념, 유형, 진단기준,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