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정코칭

학교폭력 대처법/다툼과 폭력의 차이, 잘못된 대처법, 바람직한 대처법

by 감사와 기쁨 2022. 12. 14.
반응형

다툼과 폭력의 차이

구분 다툼 폭력
힘의 균형 힘의 불균형
(1대 다수, 상급생 대 하급생, 강자와 약자)
횟수 일시적 주기적, 반복적
해칠 의도 해칠 의도가 없음 의도적으로 해침
위협 위협하지 않음 위협함
기분 양쪽의 기분이 비슷함 승리감과 패배감으로 양분
후회 후회가 따름 피해자 탓으로 정당화
문제 해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문젯거리를 만들려고 함

 

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들의 미래

폭력 학생들의 미래 피해 학생들의 미래 방관자들의 미래
크고 작은 범죄로 처벌받음 장기간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손상 공부, 운동, 정서적 활동, 사회적 활동, 예술 활동, 도전 등의 저하
배우자 학대 면역력 감퇴, 수면장애 창의력, 문제해결력 저하
직장생활 실패 만성피로증후군, 각종 질병 불안감, 공포감
자녀들에게 폭력 대물림 자해 및 자살 파벌 발생
30세 이전 범죄율 높음
(4명에 1)
두려움, 분노, 소외감, 수치심, 우울감, 무가치감, 학습된 무기력감  
중학교 때 학교폭력 가해자의 60%24세 이전에 범죄행위로 체포됨 결석  

 

학교폭력에 대한 잘못된 대처법

방관형 애들은 다 그러면서 크는 거라고 내버려둠
억압형 어른이 가해자를 폭력으로 다스림
축소전환형 피해자에게 지나간 일이니 잊어버리라고 함
피해자에게 시간이 약이니 참고 견디라고 함
억압형방관형 피해자에게 맞서 싸우라고 함

 

학교폭력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법

비폭력적인 분위기 조성 학교 전체를 비폭력적인 분위기로 전환하기(교사, 학생, 직원)
폭력에 대한
경각심 고취
폭력의 종류와 폭력지수를 알려서 경각심 일깨우기
심리적 폭력: 나쁜 표정이나 무시하는 몸짓
언어적 폭력: 놀림, 별명, 성적 묘사나 욕설
사회적 폭력: 따돌림, 소문내기 등
신체적 폭력: 때리기, 치기, 밟기, 누르기, 위협, 흉기 사용
행동의 한계 설정 자신과 타인을 해치는 행동은 절대 금물임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피해학생 감정코칭 피해학생에게 감정코칭을 통해 대인관계능력, 상황대처능력, 자기방어능력 교육하기
가해학생 감정코칭 감정코칭을 통해 가해학생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되 행동에 대한 한계와 책임 교육하기
모두의 책임 강조 전체 학생들에게 가해학생을 저지하고 피해학생을 도와주도록 교육하기
고자질은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타인을 처벌하려는 목적이지만,알림은 타인을 돕기 위해 하는 행동이므로 폭력이 일어났을 때는 알리는 것이 모두의 책임임을 강조하기
바람직한 힘겨루기
방법 권장
운동, 스포츠, 게임 등 힘겨루기를 안전하고 즐겁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을 권장하기

참고: 최성애조벽(2012). 청소년 감정코칭. 해냄출판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