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창세기 41장 37-45절
37 바로와 그의 모든 신하가 이 일을 좋게 여긴지라 38 바로가 그의 신하들에게 이르되 이와 같이 하나님의 영에 감동된 사람을 우리가 어찌 찾을 수 있으리요 하고 39 요셉에게 이르되 하나님이 이 모든 것을 네게 보이셨으니 너와 같이 명철하고 지혜 있는 자가 없도다 40 너는 내 집을 다스리라 내 백성이 다 네 명령에 복종하리니 내가 너보다 높은 것은 내 왕좌뿐이니라 41 바로가 또 요셉에게 이르되 내가 너를 애굽 온 땅의 총리가 되게 하노라 하고 42 자기의 인장 반지를 빼어 요셉의 손에 끼우고 그에게 세마포 옷을 입히고 금 사슬을 목에 걸고 43 자기에게 있는 버금 수레에 그를 태우매 무리가 그의 앞에서 소리지르기를 엎드리라 하더라 바로가 그에게 애굽 전국을 총리로 다스리게 하였더라 44 바로가 요셉에게 이르되 나는 바로라 애굽 온 땅에서 네 허락이 없이는 수족을 놀릴 자가 없으리라 하고 45 그가 요셉의 이름을 사브낫바네아라 하고 또 온의 제사장 보디베라의 딸 아스낫을 그에게 주어 아내로 삼게 하니라 요셉이 나가 애굽 온 땅을 순찰하니라 |
우리는 목사, 장로, 권사, 집사 등을 직분자라고 합니다. 날마다 무언가를 계획하고 실천하여 반드시 열매를 맺는 사람을 능력자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이 세우신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형들의 따돌림, 타국에서의 노예, 누명 쓴 죄인에서 애급 총리가 된 요셉!
인생의 롤러코스터를 탔지만 결국에는 화려한 성공으로 인생을 마치는 요셉을 많은 사람들이 부러워합니다. 그는 30세에 총리가 되었고(창 41:46) 110세에 죽었으며(창 50:26),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 친척, 애굽 사람들, 심지어 기근에 고생하는 타국에 사는 사람들에게까지 큰 도움과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요셉은 과연 누구에게서 영향을 받았을까요?
첫째, 요셉의 아버지 야곱입니다.
요셉은 야곱이 사랑했던 라헬이 낳은 첫아들이자 노년에 얻은 아들이기에 야곱은 여러 아들들보다 그를 더 사랑하여 채색옷을 지어 입혔습니다(창 37:3).
야곱은 91세에 요셉을 낳았습니다. 야곱이 애굽에 왔을 때는 7년 풍년이 지난 후 2년째 흉년인 시점이며, 요셉이 총리가 된 지9년(창 45:11), 야곱의 나이 130세일 때(창 47:9)입니다.
둘째, 노예 요셉을 산 보디발 장군입니다.
그는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심과 그의 범사에 형통하게 하심을 보았습니다. 범사에 ‘형통’하다는 것은 ‘하나님이 함께 계시다’는 뜻입니다.
그리하여 요셉에게 자기의 집과 모든 소유물을 주관하게 하였는데, 그때부터 여호와께서 요셉을 위하여 보디발의 집에 복을 내려 주셨습니다(창 39:4-5).
창 39:3 그의 주인이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심을 보며 또 여호와께서 그의 범사에 형통하게 하심을 보았더라 |
‘보며’는 ‘보다’라는 기본적인 뜻 뿐만 아니라 ‘발견하다’, ‘알다’, ‘깨닫다’는 뜻도 있습니다(옥스퍼드 원어 성경대전 004, 2006, p140.). 따라서 보디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신다는 사실을 눈으로 보았을 뿐만 아니라 마음속 깊이 깨닫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애굽 왕의 술 맡은 관원장과 떡 굽는 관원장이 옥에 갇혔을 때에 요셉에게 그들을 수종 들게 하였을 것입니다(창 40:4).
셋째, 간수장입니다.
간수장은 옥중 죄수를 다 요셉의 손에 맡겼을 뿐만 아니라 전적으로 믿고 맡긴 것을 살펴보지 않았습니다(창 39:21-23).
넷째, 애굽의 바로 왕입니다.
당시 애굽 사람들은 히브리 사람들과 겸상도 하지 않았는데 더욱이 요셉은 종으로 팔려 온 처지인데도 바로는 그의 해몽과 해결책을 듣고 총리로 세웠습니다.
바로와 그의 모든 신하는 요셉의 말을 듣고 좋게 여겼으며, 바로는 요셉을 ‘하나님의 영에 감동된 사람’, ‘명철하고 지혜 있는 자’라고 칭했습니다. 그리고 인장 반지, 세마포 옷, 금 사슬 목걸이, 버금(서열이나 차례에서 으뜸의 다음) 수레를 내주며 총리로 높여 주었습니다(창 41:37-43).
다섯째, 하나님이십니다.
요셉은 형들과 베냐민에게 자기의 신분을 밝힐 때, 하나님께서 자신을 바로에게 아버지로 삼으시고 그 온 집의 주로 삼으시며 애굽 온 땅의 통치자로 삼으셨다고 고백합니다(창 45:8).
요셉은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이루신 놀라운 일에 대해 점층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바로’라는 ‘개인’의 마음을 좌우하는 아비로, 다음에는 그보다 큰 범위인 ‘그 온 집의 주’라는 ‘바로의 궁정’을 주관하는 주인으로, 마지막에는 ‘애굽 온 땅’이라는 ‘한 국가’를 다스리는 치리자로 점차 강도를 더합니다.
그로 인해 놀라운 일을 행하시는 하나님이 더욱 부각됩니다. 어렸을 때 꿈을 통해 요셉을 만나주신 하나님은 그가 어디에 있든지 함께 하심으로 형통하게 하셨습니다. 요셉은 노예로 팔려왔지만 그의 주인은 언제나 하나님이셨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을 주인으로 모시는 사람의 자세는 어떠해야 할까요?
요셉은 보디발 장군의 아내가 유혹할 때, 내가 어찌 이 큰 악을 행하여 하나님께 죄를 짓겠냐며 완강히 뿌리치고 거부했습니다(창 39:9).
요셉은 지금 죄를 짓지 않음으로 인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유지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과거의 죄를 회개하지 않는다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까지 하나님과의 관계는 어긋나고 맙니다.
우리는 장래 희망을 직업으로 생각할 때가 많습니다. 직업에 따라 인생의 성공 유무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성도수, 재정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참된 주인으로 모시고 날마다 지은 죄를 회개하며 반복하지 않으려고 매달리는 사람이야말로 하나님이 자녀로 세우신 사람입니다.
요셉은 자신이 총리가 될 줄을 알지 못했을 때, 즉 채색옷을 입었을 때, 종으로 팔려 노예의 삶을 살았을 때, 누명을 쓰고 옥에 갇혔을 때에도 하나님을 경외하였습니다. 하나님이 그를 형통하게 하셨다는 것을 통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는 유혹당할 때에 어찌 이 큰 악을 행하여 하나님께 죄를 짓겠냐며 완강히 뿌리쳤을 뿐만 아니라(창 39:9), 총리인 자신의 앞에서 놀란 형들에게 하나님이 생명을 구원하시려고 자신을 보내신 것이라며 안심시켰으며(창 45:5), 야곱이 죽자 두려워하는 형들에게 또다시 자신이 하나님을 대신할 수 없다며 위로하였습니다(창 50:19).
무엇을 먹고 무엇을 누리며 누구와 어디에 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만이 꿈을 꿀 수 있으며 하나님이 세우시는 사람이 됩니다.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가 제일 중요합니다.
'신학&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모스가 북이스라엘의 선지자가 된 이유 (2) | 2023.11.24 |
---|---|
아모스의 직업/목자,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 (2) | 2023.11.23 |
삭개오는 왜 뽕나무(돌무화과나무)에 올라갔을까? (2) | 2023.11.22 |
성경에 나오는 살구(아몬드)나무 꽃/아론의 지팡이에 핀 살구(아몬드)꽃/살구(아몬드)꽃 형상의 등잔대/예레미야가 환상 중에 본 나뭇가지 (0) | 2023.11.05 |
무화과나무를 심은 포도밭 주인(누가복음 13장 6-9절) (2) | 2023.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