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몽유병(수면 중 보행장애)/야경증(수면 중 경악장애)/비렘수면 각성장애 원인, 증상, 치료/수면이상증

by 감사와 기쁨 2022. 9. 16.
반응형

수면 이상증의 개념

수면상태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경험 때문에 숙면을 취하지 못해 낮 시간 동안 졸리거나 피곤하여 일상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초래되는 경우이다. 유형으로는 비렘수면 각성장애, 악몽 장애, 렘수면 행동장애, 초조성 다리 증후군이 있다.

 

비렘수면 각성장애의 개념

주된 수면시간의 첫 1/3 기간에 수면에서 불완전하게 깨어나는 경험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를 말한다. 수면 중 보행장애와 수면 중 경악 장애가 있으며, 꿈의 내용 및 수면중 보행이나 경악 반응 시의 경험을 기억하지 못한다.

 

비렘수면 각성장애의 진단기준

  비렘수면 각성장애의 진단기준
1 주된 수면시간(비렘수면 단계)의 첫 1/3 동안 반복적으로 불완전한 각성이 일어나고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수반한다.

수면 중 보행(몽유병)
수면 중 일어나서 걸어 다니는 일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멍한 표정으로 걸어다니면서 말을 거는 사람에게 반응하지 않고 깨우기가 매우 어렵다.

수면 중 경악(야경증)
수면 중에 갑작스러운 공포와 함께 잠을 깨는 일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대부분 공황 상태에서 비롯된 비명으로 시작되며 강렬한 공포와 동공확대, 심계항진, 가쁜 호흡, 발한 등의 자율신경계의 각성을 보인다. 진정시키려는 다른 사람인의 노력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2 꿈의 내용을 거의 기억하지 못한다.
3 수면 중 위의 일들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한다.

 

수면 중 보행장애(몽유병)의 증상 및 특징

- 야간 수면 시간의 초기에 주로 발생하며 수면 중 잠자리에서 일어나 걸어 다니는 일이 반복된다.

- 보행 시 멍하게 응시하는 얼굴 표정을 보이고 말을 거는 사람에게 반응을 하지 않는다.

- 보행 시에 잠을 깨우기 쉽지 않고 깨우게 되면 수 분 동안 혼란한 상태가 되며 보행에 대한 기억이 없다.

- 침대에 앉거나 주위를 둘러보는 등의 간단한 행동부터 방을 나가서 돌아다니거나 집 밖으로 나가는 등의 좀 더 복잡한 행동을 나타내지만 대부분 30분 이내에 종결된다.

- 아동의 10~30%는 한 번 이상 수면 중 보행 반응을 나타낸다.

- 보통 4~8세에 시작되어 12세 경 최고조에 이르렀다가 초기 청소년기에 자연히 사라진다.

- 성인의 경우는 증상의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는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다.

 

수면 중 보행장애(몽유병)의 원인

유전적 요인 직계가족에서 높은 공병률을 보인다.
스트레스 신체적정서적인 스트레스 직후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부정적 감정 억압 적개심이나 분노 등의 감정을 억누르거나 심리사회적인 압박감이 있는 사람에게서 잘 나타난다.
약물 복용 및 자극 알코올이나 진정제의 복용, 내적 자극(팽창된 방광 등)이나 외적 자극(소음 등) 등이 원인이 된다.

 

수면 중 보행장애(몽유병)의 치료

-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항불안제가 처방되며 이완치료나 최면술이 사용되기도 한다.

- 아동기에 발병할 경우에는 수면 중 보행으로 인해 신체적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창문과 문을 잠가두는 것이 좋다.

- 수면 중 보행을 발견하게 되면 아동이 당황하거나 불안해하지 않도록, 깨우지 말고 다시 잠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면 중 경악장애(야경증)의 증상 및 특징

- 주된 수면시간의 초기에 발생하며 돌발적인 비명과 함께 급작스럽게 잠에서 깨어나는 일이 반복된다.

- 수면 중에 심장이 빨리 뛰고 호흡이 가빠지며 진땀을 흘리는 등의 자율신경계의 흥분과 함께 강렬한 공포를 느껴 자주 깨어난다.

- 깨어났을 때 안심시키려고 노력해도 반응이 없으며 상세한 꿈 내용을 회상하지 못한다.

- 비명을 지르거나 울면서 갑자기 침대에서 일어나 앉으며 매우 놀란 표정과 심한 자율신경계 불안 증상(심계항진, 빠른 호흡, 피부 홍조, 발한, 동공 확대, 증가된 근육 긴장)을 나타낸다.

- 깨어난 후 몇 분간 혼란상태를 보이며 막연한 공포감을 드러낸다.

- 증상으로 인해 개인적인 고통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수면 중 경악장애(야경증)의 원인

유전적 요인 가족 중 수면장애나 수면 중 보행장애를 지닌 사람이 많으며, 직계가족에서 유병률이 10배 높다.
심리적 요인 대부분 공포증,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심리적 문제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정신적 요인 환자의 85%가 성격장애나 정신장애의 진단을 받을 수 있는 상태라는 보고가 있다.
환경적신체적 요인 어지럽고 불안정한 침실분위기나 발열, 수면 박탈이 있으면 빈도가 증가된다.

 

수면 중 경악장애(야경증)의 치료

- 항불안제나 항우울제를 투여한다.

- 상처를 입힐 수 있는 가구나 물건 치우기, 창문과 문 잠그기, 가족과 같은 침실 사용하기 등으로 침실이 안전하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시켜 준다.

- 환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수면 중 경악 반응은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심리적 원인을 탐색하여 해결해 나간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2(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