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성 장애(Factitious Disorder)란?
단지 환자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신체적‧심리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거나 위장하는 경우를 말한다.
허위성 장애의 주요 증상 및 특징
- 단지 환자의 역할을 하려는 심리적 소망에 기인하여, 신체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거나 위장하는 행위를 한다.
- 증상으로 인하여 경제적 보상이나 법적 책임 회피 등 아무런 현실적 이득이 없음에도 환자로 인정받으려고 한다.
- 목적을 갖고 의도적으로 증상을 만들거나 과장하는 꾀병과는 구분된다.
- 유병률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입원 환자들 중 1%로 추산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다.
- 한두 번의 병원 입원으로 호전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 만성적인 경과를 밟으며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경향이 있다.
- 대부분 성인기 초기에 발병하며 신체적‧심리적 장애로 입원한 후에 시작된다.
- 자존감이 취약하고 의존적이며 혼란스러운 자기 정체감을 보인다.
- 심리적 불안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피학적이거나 자기파괴적인 행동을 나타내어 경계선 성격장애와 공병률이 높다.
- 환각, 망상, 불안을 자주 호소하는 경향이 있다.
- 자해하거나 문제를 일으키는 약물을 복용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허위성 장애의 진단기준
허위성 장애의 진단기준 | |
1 | 본인 스스로 신체적이거나 심리적인 증후와 증상을 허위로 조작하거나 손상이나 질병을 만들어내는 속임수를 사용한다. |
2 |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 자신이 아프고 손상이 있으며 상처가 있다고 피력한다. |
3 | 분명한 외적인 보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속임수의 행동이 나타난다. |
4 | 이러한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
허위성 장애의 원인 및 치료
허위성 장애의 원인
- 전환장애와 꾀병의 중간에 위치한 정신장애로 단지 동정과 주위를 받기 위해서라는 점 이외에는, 어떠한 의도로 이런 증상을 만들어 내는지 명백한 이유를 찾기 어렵다.
-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무시, 방임, 학대, 버림받음 등의 초기경험을 통해 자기 가치감을 획득하지 못하고 의존 욕구의 좌절을 맛보았기 때문이다.
-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실제적인 병을 앓으며 경험했던 보호와 의존의 경험으로 인해, 누군가의 사랑과 돌봄에 대한 소망과 과거에 형성되지 못했던 부모-자녀 관계를 의료진과 환자의 관계에서 재구성하려는 무의식적인 욕구이다.
- 무의식적인 죄책감을 덜어내기 위해서 또는 증오 및 적개심의 내면화로 인해 자기 파괴적이거나 피학적인 행동(복수의 의미)을 하는 것이다.
허위성 장애의 치료
- 치료에 대한 연구자료도 부족하고 환자의 대부분은 갑자기 병원을 떠나거나 추후 약속을 지키지 않는 등 심리치료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어서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
- 환자가 나타내는 증상이 허위성 장애임을 빨리 인지하고 환자의 심리적인 욕구 또한 인식하여, 환자 자신이 허위 증상을 인정하도록 심리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내면적 소망을 현실적인 방법으로 건강하게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불필요한 입원은 피하고 입원기간도 짧을수록 좋지만, 환자가 건강상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되거나 자살시도의 가능성이 있다면 즉시 입원치료를 받도록 한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외 2인(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코올 관련 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유형(알코올 유발성 장애, 알코올 사용 장애의 발전 단계,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2 |
---|---|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의 개념, 하위유형(내성, 금단증상, 강박적 사용, 물질중독, 물질금단, 물질/약물 유발성 정신장애) (2) | 2022.09.22 |
전환장애(기능성 신경증상 장애, 히스테리성 신경증, 가성 신경학적 장애)의 증상, 유형, 진단기준, 원인, 치료 (2) | 2022.09.21 |
질병불안장애/건강염려증의 증상, 진단기준, 원인, 치료 (6) | 2022.09.20 |
신체증상장애(신체화장애/건강염려증적 신경증/브리케 증후군)의 증상, 진단기준, 원인, 치료 (4)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