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의 개념, 하위유형(내성, 금단증상, 강박적 사용, 물질중독, 물질금단, 물질/약물 유발성 정신장애)

by 감사와 기쁨 2022. 9. 22.
반응형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의 개념

, 담배, 카페인, 마약 등의 중독성 물질을 사용하거나 도박증과 같이 중독성 행위에 몰두함으로써 생활 전반에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 하위유형

물질 관련 장애

물질 사용 장애 내성
금단증상
강박적 사용
물질 유도성 장애 물질중독
물질금단
물질/약물 유발성 정신장애
비물질 관련 장애 도박장애

 

1) 물질 관련 장애

 

(1) 물질 사용 장애(Substance Use Disorder)

- , 담배, 마약과 같이 중독성 있는 물질을 매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들이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 물질 사용 장애의 핵심 증상은 물질의존/물질 특정적 증후군으로, 특정한 물질에 몸, 마음,마음, 행동이 익숙해져서 그러한 물질 없이는 생활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① 내성(tolerance)

- 어떤 물질을 반복 사용하였을 때 신체적으로 습관화되어 그 효과가 점점 감소되거나 점점 더 많은 물질을 사용해야 같은 효과를 얻는 경우이다.

 

금단증상(withdrawal symptoms)

- 물질 사용을 멈추거나 줄였을 때 신체적정신적 갈망 때문에 고통스러운 경우이다.

 

강박적 사용(obsessive-compulsive use)

- 행동적 의존: 물질이 자신의 삶을 망치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적으로 사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 심리적 의존: 강박적 사용 후에는 일시적으로 즐거운 동시에 긴장과 감정적 불편이 해소되거나 줄어드는 느낌을 갖게 된다.

cf. 물질남용(substance abuse)
- 물질의존과 달리 내성, 금단증상, 강박적 사용은 없지만, 물질을 과도하게 사용해서 심각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되는 경우이다.    (폭음, 과음 등)

 

(2) 물질 유도성 장애(Substance-Induced Disorder)

- 특정 물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부적응적 후유증이다.

 

물질 중독(Substance Intoxication)

- 특정한 물질의 과도한 복용으로 인해 복용 도중 또는 직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부적응적 증상들이다.

- 중독은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고 물질의 효과가 떨어지면 복용 전의 원래 심리상태로 돌아온다.

- 가장 기본적인 중독 증상은 갈망이며, 혼란, 공격성, 손상된 판단, 부주의, 운동 기술과 공간적 기술의 손상이 주로 나타난다.

- 알코올, 코카인, 마취제 등의 과다 복용은 생화화적 효과, 심리적 고통, 손상된 판단력으로 인한 행동 패턴 때문에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물질 금단(Substance Withdrawal)

- 지속적으로 사용한 물질을 갑자기 중단하거나 줄였을 때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부적응적 증상들이다.

- 어떤 물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신체의 생리적 반응이 바뀔 수 있는데, 내성과 같이 물질에 대한 생리적 효과에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고, 금단 증후군(단약 증후군)이 나타나기도 한다.

금단 증후군이란?
물질 사용을 갑작스럽게 중단할 때 따라오는 심리적신체적 증상의 묶음을 말한다.

 

물질/약물 유발성 정신장애

- 물질남용, 치료약물, 물질이나 약물의 여러 독소들의 영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장애 증상들이다.

 

2) 비물질 관련 장애

 

(1) 도박 장애

- 도박행동을 통제하지 못해 심각한 부적응적 문제들이 초래되는 경우를 말한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2(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