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기는 X-ray 상에 태아의 뼈세포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수정 8주 말부터 출산할 때까지를 의미한다.
∙배아기에서 발달한 신체기관들이 각 부분별로 정교하게 성숙되는 기간이다.
∙태아기에 가장 중요한 발달은 신경체계의 발달과 신장 및 체중의 발달이다.
∙태아의 신장과 체중은 신경계와 마찬가지로 태아기 후반부에 크게 발달한다.
∙신장은 체중보다 빠르게 발달해서 임신 20주에 이미 출생 시 신장의 1/2이 된다.
∙체중은 임신 32주가 되어야 출생 시 체중의 50%에 이르게 된다.
① 임신 3개월
∙모발이 나기 시작하고 최초의 눈썹이 생긴다.
∙손가락과 발가락을 완전히 구별할 수 있다.
∙소화계와 배설체계가 함께 작용하면서 태아가 영양분을 소화하거나 배설한다.
∙3개월 말이 되면 외성기가 분명해지면서 태아의 성이 초음파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② 임신 4개월
∙태아는 근육의 움직임이 가능해서 사지운동이 시작된다.
∙모체는 태동을 느낄 수 있다.
∙임신 4개월 말이 되면 태아는 인간의 외형을 갖추게 된다.
③ 임신 5개월
∙손톱이 단단해지고 피부가 두꺼워지면 눈썹과 속눈썹, 머리털이 발달한다.
∙태내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모체는 자주 태동을 느끼게 된다.
∙태아의 심장박동은 산모의 배에 귀를 가까이 대고 들을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④ 임신 6개월
∙태아의 성장 속도는 다소 늦어지게 된다.
∙피부는 붉고 주름이 잡혀 있으며 지방이 축적되기 시작한다.
∙규칙적인 호흡을 유지할 수 있고 우는 소리도 낼 수 있다.
∙6개월 말이 되면 눈의 형태가 완전해져서 감고 뜨는 시각적 운동이 가능해진다.
∙청각도 기능하기 시작한다.
∙아직 자궁 외에서의 생활은 불가능하다.
∙보육기 내에서의 생존 확률도 희박하다.
⑤ 임신 7개월
∙임신 후 26~28주의 태아는 생존 가능 연령에 도달해서 조산하는 경우에 5% 정도는 생존이 가능하다.
∙출생하면 울 수 있고, 반사유형이 완전히 발달해서 감각기관의 반응도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⑥ 임신 8개월
∙보육기 내에서 2/3 정도가 생존 가능하다.
∙태아는 자궁 내 제한된 환경 때문에 동작과 활동이 감소하면서 지방층이 몸 전체와 신체 모
든 기관에 고르게 발달하게 된다.
∙임신 8개월 말경에는 태아의 신체가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때부터 출생에 대한 준비를 하게 된다.
⑦ 임신 9개월
∙피부는 탄력이 있으며 체부는 둥글고 부드럽다.
∙9개월 중반에 이르면 태아의 활동이 느려지고 수면이 증가한다.
∙성장을 거의 끝낸 태아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자궁의 밑 부분에 머리를
아래로 한 자세, 소위 태아자세)로 사지를 구부리고 있다.
∙심장속도가 빨라지고 노폐물도 더 많이 배출된다.
⑧ 임신 10개월
∙성숙아로서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자궁 밖으로 나오게 되면서 태내 기간은 종료하게 된다.
∙성숙태아의 외모는 담홍색의 피부로, 솜털은 대부분 소실되고 태지로 덮여 있으며, 주름이 없고 풍만한 상태이다.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아기의 발달문제/환경적 요인 (2) | 2023.02.10 |
---|---|
태아기의 유전적 결함/다운증후군, 혈우병, 허약 X증후군 (2) | 2023.02.09 |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 (0) | 2023.02.07 |
동물행동학적 이론/로렌츠(Lorenz)의 각인이론, 보울비(Bowlby)의 애착이론 (0) | 2023.02.06 |
맥락이론/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