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임신 과정/태내 발달의 단계 ①/배포기(배종기)

by 감사와 기쁨 2022. 8. 23.
반응형

 

태아기는 인간발달의 최초의 단계로
정자와 난자가 만나 한 사람의 성별 및 특성이 결정되는
수정의 순간부터 태아가 출산되기까지의 약 38주(266일)를 의미한다.

이 시기에 형성되는 신체적 구조와 기능은,

환경이 변화해도 유전자 정보가 바탕이 되므로 주로 유전의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신체 및 행동발달의 기초가 된다.

태아의 발달 상태는 출생 후 성장과정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며,

태내 발달은 배포기, 배아기, 태아기로 구분된다.

 

배포기(배종기)

수정 순간부터 수정란이 자궁벽에 안정되게 착상하기까지의 약 2주간을 말한다. 수정 후 4~5일 경에 수정란이 자궁에 이르게 되면 액체가 차 있는 공모양의 미분화된 포배아 상태로 자궁 안에 떠있게 된다.

 

세포분열

수정란은 자체의 영양으로 급속한 세포분열을 시작하여 2일 후에는 4, 3일 후에는 32, 1주일 후에는 약 100~150개의 세포로 분열한다.

 

착상

수정란이 세포 분열을 하는 동안 난관 내부의 섬모운동과 난관의 수축작용으로 인해 3~4일 후 자궁 속으로 내려와 정착하는 것으로서 임신의 시작을 의미한다.

포배아가 형성된 후 6~10일이 되면 포배아의 외측 표피에서 덩굴손 같은 것이 나타나 자궁내막을 파고 들어가서 모체의 혈액을 뽑아내어 포배아가 영양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배반포

수정란이 자궁에 도달할 때쯤 일정한 세포 분열을 끝내고 속이 비어있는 단계로서, 외세포 덩어리와 내세포 덩어리 및 그 속에 채워진 액체로 구성된다.

외세포 덩어리(영양배엽)는 자궁벽에 정착하여 태아를 보호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조직으로 발달하며, 세포극으로 집결되는 내세포 덩어리는 이후에 자궁 내에 완전히 착상한 후 배아로 성장한다.

 

양막낭

외부 세포층에서 발달한 양막낭의 외부를 융모막, 내부를 양막이라고 한다.

융모막은 배포기 동안 자궁벽의 안쪽을 덮어주는 융모(작은 실 같은 구조)를 만들어서 포배아가 자궁에 완전하게 착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양막은 모체의 조직으로부터 나온 주머니로 된 얇은 풍선모양의 막으로서, 양수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태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해 준다. 양수는 태아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태아가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충분히 발육할 수 있도록 무중력 환경을 만들어준다.

 

태반

자궁벽에 부착된 태반은 수정 후 4주 경에 태아의 간, 허파, 신장으로의 기능을 하며, 태아가 생존하기 위한 모든 신진대사의 처리장소로서 태아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의 역할은 내부감염을 막아 여러 질병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고, 호르몬을 분비하여 임신 유지 및 젖을 분비하도록 산모의 유방을 준비시키며, 출산 시에는 태아를 모체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자궁 수축을 자극한다.

 

임신 과정/태내 발달의 단계2/배아기

https://karapko.tistory.com/43

 

임신 과정/태내 발달의 단계3/태아기

http://https://karapko.tistory.com/44


참고: 황희숙 외(2008). 아동발달과 교육. 창지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