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뇨증(enuresis)의 개념
배변훈련이 끝나고 소변을 가려야 하는 연령인 5세(만 48개월) 이상의 아동이 신체적인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낮이나 밤에 옷이나 침구에 소변을 보는 경우를 말한다.
유뇨증의 진단기준
유뇨증의 진단기준 | |
1 |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침구나 옷에 반복적으로 소변을 본다. |
2 | 이러한 행동이 연속적으로 최소한 3개월 이상 매주 2회 이상 일어나거나 사회적, 학업적(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3 | 생활연령이 최소한 5세이거나 동일한 발달수준에 해당한다. |
4 | 이러한 행동이 물질(이뇨제, 항정신병 약물)이나 다른 의학적 질환의 생리적 효과들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
유뇨증의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소변 가리기를 한 번도 제대로 못하는 일차성 유뇨증과 일정 기간 분명하게 소변을 가린 후에 장애가 나타나는 이차성 유뇨증이 있다.
- 5세까지 소변을 가리지 못하면 일차성 유뇨증, 5~8세 사이에 시작되면 이차성 유뇨증으로 분류하지만 언제든지 발병할 수 있다.
- 대부분 청소년기에 소변을 가릴 수 있게 되지만 1% 정도는 성인기까지 지속된다.
- 정상 아동보다 소변을 더 자주 보고 소변이 조금만 방광에 차도 요의를 느끼며 소변을 참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 밤에 잘 때만 나타나는 야뇨증, 낮에만 나타나는 주뇨증, 밤낮 구분 없이 나타나는 주야간형 유뇨증으로 구분된다.
- 유뇨증 아동의 80%는 야뇨증이고, 15%는 주야간형 유뇨증, 5%는 주뇨증이다.
- 야뇨증은 수면의 초기, 렘수면(꿈꾸는 얕은 수면) 단계에서 소변보는 행위와 관련된 꿈을 꾸면서 침구에 소변을 보는 경우가 많다.
- 주뇨증은 수업이 있는 날의 오후에 가장 흔하게 일어나며, 9세 이후에는 드물고, 사회적 불안이나 학업 및 놀이에 열중하여 화장실 가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 유병률은 5세 아동은 5~10%, 10세 아동은 3~5%, 15세 청소년은 1%로 추정된다.
- 5세 아동은 남자가 7%, 여자가 3%, 10세 아동은 남자가 3%, 여자가 2% 정도이다.
- 대부분 동반되는 정신장애가 없으나 발달장애를 보이는 비율이 일반집단에서보다 높다.
- 가끔 유분증을 함께 나타내기도 하고 수면 중 보행장애, 수면 중 경악 장애를 나타내기도 한다.
- 유뇨증 때문에 사회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고, 친구들에게 놀림과 배척을 당하며, 낮은 자존감 등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유뇨증의 원인
- 유전적 요인
유뇨증을 지닌 아동의 75% 정도가 같은 장애를 가진 직계가족이 있으며, 특히 아버지가 유뇨증이 있는 경우 발병률이 10.1배 더 높다.
- 생물학적 요인
배뇨 기관의 미성숙, 요도감염에 의한 방광 통제 불능, 방광의 부분적 기능장애, 선천적으로 낮은 방광 용적, 요 농축 능력의 장애, 호르몬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
- 심리사회적 요인
부모의 비현실적이고 엄격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 부모의 이혼이나 죽음, 동생의 출생, 입원, 이사, 전학 등으로 인한 불안, 긴장, 초조, 두려움 등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 정신분석적 입장
부모에 대한 불만, 두려움, 분노 등의 억압된 감정이 수동 공격적인 복수의 형태로 나타난다.
유뇨증의 치료
- 복합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므로 세밀한 신체검사를 하고 신체적 원인이 의심될 때는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 신체적 요인이 아닐 경우 아동이 지니고 있는 긴장감이나 초조 등의 정서적 문제를 줄여주기 위해 놀이치료와 가족치료를 실시한다.
- 간단히 시행할 수 있는 행동 수정 교육을 부모에게 가르친다.
- 낮 동안에 가능한 한 오랫동안 소변을 참게 하는 방광조절 훈련 및 저녁식사 후 수분 섭취를 줄이게 한다.(50% 이상의 치료 효과)
- 잠자리 요나 기저귀에 전자식 경보장치를 하여 소변이 한 방울이라도 떨어지면 즉시 벨이 울려 잠자는 아동을 깨움으로 화장실에 가게 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 이 과정이 반복되면 아동은 경보가 울리기 전에 방광의 긴장을 느껴 잠에서 깨는 것을 학습하게 된다.(야뇨증 아동의 75% 이상의 치료 효과)
- 약물치료는 유뇨증에 잘 적용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삼환계 항우울제가 사용된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외 2인(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영속성의 개념, 발달 과정, 대상영속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 (2) | 2022.09.29 |
---|---|
유분증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2) | 2022.09.28 |
방화증(병적 방화, 방화광)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7 |
도벽증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7 |
품행 장애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1) | 2022.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