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도벽증의 개념, 진단기준,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by 감사와 기쁨 2022. 9. 27.
반응형

도벽증(Kleptomania)의 개념

자신의 기쁨이나 만족, 긴장완화를 위해 남의 물건을 훔치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여 반복적으로 도둑질을 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도벽증의 진단기준


도벽증의 진단기준
1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거나 금전적으로 가치가 없는 물건임에도 훔치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는데 반복적으로 실패한다.
2 훔치기 직전에 고조되는 긴장감이 있다.
3 훔쳤을 때의 기쁨, 만족, 안도감이 있다.
4 훔치는 행동이 분노 표출이나 복수심도 아니고 망상이나 환각에 대한 반응도 아니다.
5 훔치는 행동이 품행장애, 조증, 반사회성 성격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도벽증의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자신도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필요하지도 않은 물건을 훔치고 훔치는 과정에서 짜릿한 긴장감과 흥분을 맛보며 훔친 이후에는 안도감을 느낀다.

- 훔친 물건은 다른 사람에게 주거나 버리거나 보관하거나 주인에게 몰래 돌려주기도 한다.

- 체포될 것에 대한 두려움과 우울감, 죄책감이 있지만, 훔치는 행위로 느끼는 짜릿한 만족감이 워낙 크기 때문에 멈추지 못한다.

- 유병률은 일반 인구에서 0.3~0.6%이며, 좀도둑질로 체포된 사람들 중에서는 4~24%로 추정된다.

- 여성이 남성보다 4배 더 많다.

- 보통 청소년기에 상실 또는 실망에 의해 시작되며, 경과는 변동적이지만 만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 치료받으면 예후가 좋지만 거의 치료받으러 가지 않는다.

 

도벽증의 원인

 

  • 생물학적 입장

- 뇌의 특정 부분이 손상되었거나 신경학적 기능 이상으로 인해 충동조절 능력과 행동 억제 능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정신분석적 입장

- 아동기에 잃어버린 애정과 쾌락에 대한 대체물의 추구, 무의식적인 죄의식의 해소, 억압된 성적 욕구를 분출하는 대체 수단이다.

- 어렸을 때 사랑하는 사람을 빼앗아간 사람에 대한 복수로 물건을 훔치는 행동이 나타난다.

 

  • 심리적 요인

- 공격적 충동의 발현, 잃어버린 관계의 회복, 중요한 사람의 상실에 대한 허탈감, 실제 또는 예상되는 손실에 대한 상징적인 심리적 보상의 획득, 이별이나 헤어짐 등 관계의 종결이나 종결이 예상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도벽 충동이 많이 일어난다.

 

도벽증의 치료

- 환자 본인이 치료를 받으려는 동기가 부족하므로 치료 동기를 심어준다.

- 흔히 아동과 청소년의 도벽증은 부모와의 갈등, 학대와 무시, 불행한 가정, 부모의 정신병리 등에서 출현하기 때문에 가족치료를 함께 실시한다.

- 정상 가정의 아동 및 청소년들도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또는 표현할 수 없는 분노나 죄책감 때문에 도벽 충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족의 역기능적 측면도 평가한다.

- 특히 불안장애와의 공존률이 높기 때문에 다른 정신장애가 있을 시 함께 치료한다.

- 법적 문제에 부딪힐 때 자살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 관찰한다.

 

  • 심리 치료

- 체계적 둔감화 기법, 혐오 요법, 사회적 강화요인의 변화 등을 포함한 행동치료를 적용한다.

- 도벽 충동에 대한 일기쓰기로 환자의 증상 과정을 평가한다.

 

  • 약물 치료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계열의 항우울제가 일부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