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발달의 원리
발달에는 일정한 순서가 있다.
아동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발달하므로 발달적 변화는 상당히 규칙적이며 예측 가능하다.
모든 영아는 앉을 수 있게 된 후에 설 수 있고, 옹알이를 한 다음에 말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고가 가능한 후에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다. |
발달은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두미 발달의 원칙
머리에서 발 방향으로 발달이 진행된다. 즉, 머리 부분이 몸통이나 사지보다 일찍 발달한다.
근원 발달의 원칙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발달이 진행된다. 즉, 중십부가 말초 신경보다 먼저 발달한다.
팔 → 목 → 손 → 손가락 순서로 발달한다. |
세분화 발달의 원칙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발달이 진행된다. 즉, 유아 초기에는 몸 전체를 사용하는 거칠고 산만하고 분화되지 않은 행동을 하지만 점차적으로 분화되고 정밀한 행동으로 대체된다.
발달은 계속적인 과정이지만 발달의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인간의 발달은 어떤 특정한 시기가 아니라 일생을 통해 끊임없이 진행되는 연속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발달 속도에 있어서는 특정 신체나 심리적 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기간이 있다.
키와 몸무게는 첫돌까지 크게 증가하고, 생식기관은 사춘기에 급속하게 발달한다. 어휘 습득 속도는 영아기가 빠르고, 논리적 문제 해결력은 청년기에 현저히 향상된다. |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다.
모든 아동의 발달은 일정한 순서대로 이루어지지만, 발달의 속도와 양상은 아동마다 달라서 일란성쌍생아들 간에도 태어날 때부터 개인차가 존재한다. 아동은 인간발달 예정표의 범위 내에서 각각 고유한 특성에 따라 다르게 발달한다.
발달의 각 영역은 상호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인간의 신체, 운동, 정서, 사회성 등 발달의 각 영역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한다. 한 영역의 발달 또는 지체는 다른 영역의 발달 촉진 또는 지연을 가져온다.
건강하고 잘 걷는 영아는 주위 탐색을 잘 할 수 있어 활발한 인지적 발달이 기대된다. 청각발달이 이루어져야 언어가 발달한다. |
발달에는 민감기 또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아동은 신체 기관이나 정신적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특정한 시기가 있으며, 이 시기에 환경적 장애로 인해 정상적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해당 영역의 발달에 결함이 지속될 수 있다. 발달 영역에 따라 발달이 보다 용이하고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시기가 있다. 애착 형성은 생의 초기가 최적의 시기이다.
순서 | • 대략 어느 시기에 어떤 방향으로 변해간다는 보편성과 법칙성 내재 • 한 단계의 행동특징은 그 다음 단계의 행동특징과 위계적인 관련성을 지님 • 간단, 전체 → 복잡, 특수한 활동으로 진행 • 예측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당히 규칙적 |
방향 | • 아동의 신체는 머리 → 발, 안 → 바깥쪽, 전체 → 세분화된 활동으로 발달 |
속도 | • 신체나 심리적 발달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기간이 있음 |
개인차 | • 개인 간, 개인 내에서 발달의 속도와 순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 |
상호 연관 | • 발달의 각 영역들은 발달을 촉진 또는 지체시키면서 상호 간에 영향력 행사 |
민감기 | • 발달 영역에 따라 발달이 보다 용이하고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시기가 있음 |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노조절 방법/화를 참기 위한 방법/분노조절훈련 (0) | 2022.08.20 |
---|---|
뇌 발달/두뇌발달/영아기 뇌 발달의 특징/영아기 두뇌 발달을 위한 방법 (0) | 2022.08.20 |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할까요?/유아기의 공격성, 폭력성 없애는 방법 (2) | 2022.08.19 |
놀이의 중요성/놀이와 유아발달/놀이가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창의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22.08.19 |
놀이 이론/정신분석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