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뇌 발달의 특징
첫째, 영아기 뇌의 발달은 생물학적 프로그램뿐 아니라 환경에도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영아기 동안의 심한 영양실조는 뉴런의 수, 크기, 구조, 수초화의 속도, 시냅스의 형성에 영향을 미쳐 심각한 뇌 손상을 초래한다.
둘째, 영아의 뇌는 경험에 의해 구조나 기능이 수정될 수 있는 유연성(가소성)이 뛰어나다.
영아의 감각 경험은 뉴런의 크기와 연결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지적 자극과 사회적 자극이 풍부한 환경에서 성장한 영아와 그렇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영아는 뇌의 구조와 무게에서 큰 차이를 나타낸다.
셋째, 뇌는 움직임과 자극에 의해 발달한다.
신체적으로 활발히 움직이는 것은 운동기능을 익히는 것 외에도 두뇌에 영양을 공급하고 뇌신경 전달물질을 촉진시켜 두뇌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아기가 경험하는 다양한 감각적 자극에 의해서도 두뇌 발달이 이루어진다. 엄마가 들려주는 이야기와 피부접촉에 의한 청각‧촉각 자극은 두뇌의 감긱피질의 뉴런과 연결되어 하나의 회로를 만들기 시작한다.
![]() |
![]() |
Pixabay로부터 입수된 Luciana Silva님과 Pintera Studio님의 이미지입니다.
영아기 두뇌 발달을 위한 방법
첫째, 필요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하게 한다.
영아기는 시냅스 형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영아가 시냅스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인 채소, 생선, 견과류, 육류 및 신선한 과일,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기는 누워 있어도 계속해서 움직이면서 주변 세계를 탐색한다. 8개월 무렵에 아기의 기는 동작은 양반구의 활발한 교류 및 다양한 감각과 움직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직접적으로는 영아의 대뇌 전두엽에 있는 운동피질 및 소뇌발달과 관련되고, 간접적으로는 두뇌 모든 부위의 발달을 촉진한다. 영아가 기고 서고 걷는 활동을 통해 대근육 발달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며, 특히 손놀림을 요구하는 활동 등을 통해 소근육 운동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뇌가 적절한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휴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휴식은 대부분 수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시냅스의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영아의 두뇌는 쏟아지는 많은 정보로 인해 쉽게 지치므로 숙면을 통해 기능을 정비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스킨십을 자주 한다.
피부감각의 발달은 곧 두뇌발달로 이어진다. 양육자의 업어주기, 쓰다듬어 주기, 안아주기, 뽀뽀해 주기, 마사지해 주기 등은 정서의 두뇌도 발달시킨다.
다섯째, 오감을 활용한 교육을 한다.
단편적인 방법으로 어떤 물체를 접할 때보다 오감을 통한 학습을 할 때 시냅스가 더 치밀해진다. 그러므로 아이와 함께 마트나 시장 등을 다니며 듣고 보고 냄새 맡고 만져보고 맛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섯째, 뇌의 편측성을 줄이기 위해 양손을 자주 사용하게 한다.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는 뇌의 편측성에 의한 결과이다. 언어를 관장하는 뇌의 좌반구는 오른손잡이에게 우세하고, 두 개의 반구가 함께 작용하는 왼손잡이인 경우 뇌의 편측성이 덜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뇌의 편측성을 줄여주어 두뇌발달에 효과적이다.
아이 두뇌 발달
https://karapko.tistory.com/17
영아기 뇌 발달
https://karapko.tistory.com/25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노조절 방법/화를 참기 위한 방법/분노조절훈련2 (2) | 2022.08.20 |
---|---|
분노조절 방법/화를 참기 위한 방법/분노조절훈련 (0) | 2022.08.20 |
아동발달/아동발달의 원리 (0) | 2022.08.20 |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할까요?/유아기의 공격성, 폭력성 없애는 방법 (2) | 2022.08.19 |
놀이의 중요성/놀이와 유아발달/놀이가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창의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