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분노조절 방법/화를 참기 위한 방법/분노조절훈련2

by 감사와 기쁨 2022. 8. 20.
반응형

분노는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자연적인 감정이다.

그러나 분노를 조절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분노를 조절하여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고, 또한 자신의 내면에 안정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누구든지 화를 낼 수는 있지만
쉬운 일이 아닙니다.
올바른 사람,
올바른 시간,
올바른 목적,
올바른 방법으로 화를 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아리스토텔레스(다음 위키백과) -

 

분노조절훈련의 정의

화가 난 상황에서 화를 조절하고 공격적인 행동을 자제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분노조절훈련은 사회기술훈련이나 갈등과 같은 대인관계 문제를 해결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훈련이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Abigail Tan님과 nugroho dwi hartawan님의 이미지입니다.

 

분노조절 훈련 방법

첫째, 마음 속으로 다섯을 센다.

아아들에게 마음 속으로 다섯까지 세라고 하는 이유는 마음을 진정시키고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하기 위해서다.

다섯을 셀 때는 절대로 소리내어 세지 말고 다른 사람들에게 들리지 않게 마음속으로만 센다.

손을 늘어뜨린 상태에서 주먹만 펴서 손가락 수를 헤아릴 때처럼 하나씩 꼽아가며 세는 것도 괜찮다.

그렇게 하면 더 천천히 세게 되기 때문에 진정할 시간을 많이 갖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난 괜찮아’라고 이야기한다.

마음 속으로 계속해서 난 괜찮아라는 말을 하라고 알려주고, 자기교수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감정은 혼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의 영향을 받는다.

슬프고 화가 나는 것은 슬프다, 화가 난다라는 생각 때문이다.

나는 괜찮아라는 자기교수법은,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감정을 진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셋째, 왜 이런 기분이 드는지 생각한다.

감정을 진정시켰다면, 아이에게 자기감정의 원인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생각해 보라고 한다.

대부분 화가 날 때 분노라는 감정에 얽매여 감정의 원인과 해결방안은 생각하지 못한다.

분노의 감정만 되새김하여 더 화가 나게 되기도 한다.

감정의 원인을 생각하게 되면 사실은 그리 화낼 일만도 아니었음을 알고 더 냉정해질 수 있다.

 

넷째, 기분 좋은 일을 상상한다.

기분을 바꾸는 것을 목적으로 아이들에게 기분좋은 상상을 해보게 하면 도움이 된다.

웃음이 나는 일을 머릿 속으로 떠올려서 화가 날 때마다 감정을 정화하는데 사용한다.

 

다섯째,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한다.

좋지 못한 기분과 분노를 해결하는데 좋은 방법이다.

문제해결에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누군가에게 이야기를 하면 마음이 좀 풀어진다.

아이들이 털어놓기에 적합한 사람은 보통 엄마와 아빠이다.

앞으로 화가 날 때는 와서 이야기하면서 화를 풀 수 있다고 말해준다.

 

분노조절 방법/화를 참기 위한 방법/분노조절훈련1

https://karapko.tistory.com/35

 


참고: 안동현 외 2(2004). 주의력결핍 장애아동의 사회기술훈련. 학지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