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신생아 질병/신생아 돌보기(배꼽 처리, 유두 짜기, 목욕, 일광욕, 운동, 예방접종)

by 감사와 기쁨 2022. 8. 24.
반응형

신생아 질병

 

황달

신생아의 간 기능이 아직 미숙해서 생후 2~42~4일경에 몸 전체에 나타나서 1~2주일 이내에 거의 정상으로 회복된다.

미숙아의 경우는 정상아보다 조금 더 심하고 오래 가게 되는데, 2주 이상 황달이 계속되거나 너무 심해서 발바닥까지 노랗게 되는 경우는 의학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습진

일반적으로 유아 태열이라고 부르며 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말한다.

신생아의 습진은 우유나 음식물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데 진드기나 주위 환경이 청결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습진이 발생하기 쉬운 아기는 자주 목욕을 시켜 주고, 건포마찰로 피부를 단련시켜 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아토피성 체질은 유아기에 천식과 비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기에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구창

젖을 먹인 후 입안을 깨끗하게 닦아주지 않은 경우에 입안 점막에 하얀 젖 찌꺼기가 쌓이면서 발생한다.

소독제 거즈 수건으로 입 속을 깨끗하게 닦아주면 대부분 회복되지만, 피가 나거나 증상이 심하면 구강 치료와 약물 치료를 함께 받아야 한다.

 

구토

갓 태어난 아기의 위는 병 모양의 원통형이기 때문에 먹었던 젖이나 내용물을 자주 토한다.

구토를 할 때에는 먼저 옆으로 눕혀서 토물이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감기와 같이 열성 질환이 있을 때에도 토할 수 있지만, 계속해서 토할 경우에는 장 폐쇄나 유문협착증이 의심되므로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신생아 돌보기

 

배꼽 처리

아기의 배꼽은 1~2주 정도면 아물어 떨어지지만 진물이나 고름이 나면 병원에 가야 한다배꼽이 완전히 떨어질 때까지는 입욕을 피하고, 스펀지에 비누나 베이비오일을 묻혀 닦아주는 것이 좋다아기가 너무 심하게 울거나 해서 배꼽이 튀어나오게 되면, 소독한 동전을 솜으로 싸서 배꼽 위에 얹어놓고 반창고를 붙이면 제자리로 돌아간다.

 

유두 짜기

여자 아이는 생후 3주일이 지나기 전에 유두를 짜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흰 유즙을 소량 짜주게 되면 아기가 성인이 된 후에 유두가 함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목욕시키기

 

시간

수유 1 시간 이내에는 가급적 피하고 밤에 잠을 잘 자지 않는 아기는 자기 전에 시키는 것이 좋다.

 

횟수

하루에 1회 정도가 적당하나 추운 겨울에는 이틀에 1회 정도가 무난하다.

 

방법

얼굴과 머리에서 몸체와 다리의 순서로 씻겨 주고, 목욕 후에는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 반드시 아기 분을 발라 주어야 한다.

 

일광욕시키기

 

효과

영아의 식욕 부진을 고쳐주고 뼈를 튼튼하게 해 주며 성장 발육과 운동 기능의 발달을 촉진시켜 준다.

 

방법

겨울에는 정오를 중심으로 따뜻한 시간에, 여름에는 아침과 저녁의 서늘한 시간에 시켜주는 것이 좋다.

 

시기

생후 1개월 후부터 시작하도록 한다처음 2~3일은 하루 5분 정도씩, 발끝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위로 올라가도록 해야 한다.

 

주의사항

일광욕을 시킬 때는 반드시 모자를 씌워 얼굴이나 눈에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운동시키기

 

효과

각종 저항력을 기르고 근육을 발달시켜 준다.

 

운동 시간

젖을 먹인 직후나 배가 고플 때는 피하고, 목욕 후와 같이 기분이 좋을 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루에 30분 정도는 운동을 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아기는 머리를 좌우로 돌리고 다리를 차고 팔을 흔들고 손가락을 움직이는 등 스스로 기초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몸통 근육, 발목과 발의 근육과 같은 신체 근육 운동은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에 양육자가 도와주어 단련시켜야 한다.

 

예방 접종

 

기본 접종

항원을 주사해서 아기에게 기초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다.

 

추가 접종

기본 접종으로 생긴 면역 반응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일정 기간을 두고 추가로 접종하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