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격연구의 흐름
1) 성격연구의 역사
고대 | 생각과 행동의 개인차가 각자의 출생 당시 서로 다른 자연현상(별자리, 계절 등)의 영향에서 비롯된다고 봄 | |
히포크라테스 | 혈액, 흑담즙, 황담즙, 점액 | |
갈렌 | 다혈질, 우울질, 담즙질, 점액질 | |
중세 | 셰익스피어, 세르반테스, 디킨스 | 문학작품 속에 인간의 성격 묘사 |
근대 | 점성학, 수비학, 수상학, 골상학, 관상학 등 의사과학적 접근이 개인의 성격이나 특성을 파악하여 장래나 운명을 예측한다는 점에서 성격연구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함 | |
로크, 볼테르 등 | 백지와 같은 상태 | |
현대 | 크래츠머 | 신체유형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성격 및 정신장애 분류 |
셀든 | 내배엽형, 중배엽형, 외배엽형으로 성격 구분 | |
융 | 1908년 단어연상검사를 개발하여 사용하면서 성격에 대한 체계적.과학적 연구가 본격화됨 |
2) 성격연구의 주요 사건들
1879년 | 분트 | 라이프치히 실험실 → 현대심리학의 효시 |
1900년 | 프로이트 | 「꿈의 해석」 → 정신분석이론 제시 |
1906년 | 파블로프 | 고전적 조건화 |
1917년 | 미국의 제1차 세계대전 개입 | 군대 알파, 군대 베타 |
1921년 | 융 | 「심리학적 유형」 |
로샤 | 로샤 검사 | |
1935년 | 머레이 & 모건 | 주제통각검사 |
1937년 | 올포트 | 「성격: 심리학적 해석」 → 성격심리학 연구 토대 |
1943년 | 하더웨이 & 매킨리 |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 |
1949년 | 카텔 | 16성격 요인검사 |
1952년 | 미국정신의학협회 |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
1953년 | 스키너 | 조작적 조건화 |
1954년 | 매슬로우 | 「동기와 성격」 |
1955년 | 켈리 | 「개인적 구성개념의 심리학」 |
1960년 | 아이젠크 | 성격 3요인 이론 |
1961년 | 터프스 & 크리스탈 | 성격 5요인 구조 |
1968년 | 미첼 | 「성격과 평가」 → ‘개인-상황 논쟁’ 제기 |
1977년 | 반두라 | 「사회학습이론」 |
1981년 | 골드버그 | 성격 5요인에 대해 ‘Big Five’ 명칭 부여 |
1985년 | 코스타 & 맥크레이 | NEO 성격질문지(NEO-PI) |
1994년 | 클로닝거 | 기질 및 성격검사(TCI) |
2. 심리학의 주요 학파와 학자
구성주의 | 개인의 의식 경험의 세부 구성요소를 밝혀내는 데 초점 | 분트 티츠너 |
기능주의 | 인간 정신의 지속적인 변화를 강조하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정신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연구 | 제임스 듀이 |
행동주의 | 심리학이 과학의 한 분야가 되기 위해서는 관찰 및 측정 가능한 외현적 행동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봄 | 파블로프 스키너 헐 왓슨 |
정신분석 | 성격을 서로 경쟁하고 갈등하는 내적 힘들의 집합으로 봄 특히 인간행동의 여러 측면들이 그의 성격 안에 내재된 무의식적 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함 |
프로이트 머레이 |
신정신분석 | 인간행동의 동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무의식적인 아닌 의식을, 성적인 힘보다는 사회적.문화적 힘을 강조 특히 성격에서 자아와 자아의 발달, 사회적 관계 중시 |
아들러 에릭슨 설리반 호나이 프롬 |
게슈탈트 (형태주의) 심리학 |
인간을 정신, 행동 등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보다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것을 강조 | 베르트하이머 쾰러 코프카 |
인본주의 심리학 |
인간은 과거에 의한 결정적인 존재가 아닌 자유의지를 가지고 자기실현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 | 로저스 매슬로우 프랭클 메이 |
인지 심리학 |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사고, 기억, 의사결정 등 인지 과정을 연구할 것을 강조 | 나이지 털빙 |
3. 성격이론의 쟁점
1) 인간 대 상황에 대한 쟁점
(1) 일반적인 관점 : 인간 자체에 대하여 초점을 둔 성격이론
(2) 미첼의 5가지 사람변인: 상황의 중요성 제기
구성능력 | 개인의 인지적.행동적 능력과 연관된 것으로서, 적절한 조건하에서 다양한 행동을 생성할 수 있는 지적.사회적,신체적 능력 |
부호화 전략 | 개인이 사건이나 실체를 지각하고 조직화하여 이해하는 방법, 그리고 상황을 범준화하는 방법과 연관 |
기대 | 특별한 조건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구체적인 기대를 의미함 |
목표와 주관적 가치 | 기대가 유사하더라도 개인마다 서로 다른 목표나 주관적 가치를 가지므로, 동일한 결과에 대해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서로 다른 행동으로 보일 수 있음 |
자기조절 체계 및 계획 | 각각의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채택하는 서로 다른 규칙 혹은 규준을 의미 |
2) 인간관에 대한 쟁점
(1) 인간관에 대한 준거틀
젤리와 지글러 | • 자유론 대 결정론 • 전체주의 대 요소주의 • 가변성 대 불변성 • 발생성 대 반응성 • 가지성 대 불가지성 |
• 합리성 대 비합리성 • 체질론 대 환경론 • 주관성 대 객관성 • 평형성 대 불평형성 |
매디 | • 갈등 모델 • 일관성 모델 • 충족 모델 |
|
슐츠와 슐츠 | • 자유의지 대 결정론 • 과거 대 현재 • 평형 대 성장 |
• 유전 대 환경 • 독특성 대 보편성 • 낙관론 대 비관론 |
(2) 인간관에 대한 3가지 모델
- 갈등 모델: 인간은 필연적으로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 힘들 간의 마찰이 이루어지는 존재
심리사회적 입장 | • 개인 내부의 힘과 외부의 힘으로서 사회적 힘 간의 갈등 가정 • 프로이트, 머레이, 에릭슨 |
정신내적 입장 | • 개인 내부의 상반되는 두 가지 힘들 간의 갈등 가정 • 융, 랭크, 펄스 |
- 충족 모델: 인간은 내부에 한 가지 큰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존재
실현화 입장 | • 개인 내부의 잠재력을 삶의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실현시키 려고 노력 • 로저스, 매슬로우, 코스타 & 맥크레이 |
완성 입장 | • 개인 내부의 큰 힘이 완성의 이상을 추구하도록 유인 • 올포트, 아들러, 프롬 |
- 일관성 모델: 인간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외부세계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존재로 서, 피드백은 그의 기대와 일관적일 수도 비일관적일 수도 있음
인지부조화 입장 | • 일관성과 비일관성이 필연적으로 사고 과정에 수반 • 켈리, 엡스타인, 맥클리랜드 |
활성화 입장 | • 습관적인 신체적 긴장의 정도와 실제적으로 존재하는 긴장의 정도 간의 일관성 강조 • 개인은 이미 익숙해진 긴장의 정도를 계속 유지하려는 속성 • 피스크 & 매디 |
(3) 인간관의 주요 준거
- 자유의지(로저스, 매슬로우, 프랭클, 켈리) VS 결정론(프로이트, 스키너, 카텔)
- 유전(프로이트, 융, 아이젠크, 카텔) VS 환경(왓슨, 스키너, 반두라, 로터)
- 독특성(올포트, 아들러, 매슬로우, 로터) VS 보편성(왓슨, 아이젠크, 프롬, 코스타&맥크레이)
- 발생성(올포트, 아들러) VS 반응성(스키너)
- 낙관론(올포트, 아들러, 매슬로우, 로저스) VS 비관론(프로이트)
(4) 성격이론의 평가준거
- 포괄성: 이론은 광범위한 자료를 토대로 인간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검증성: 이론은 명확히 기술되고 측정될 수 있는 개념들을 가져야 함
- 경제성: 이론은 어떤 영역의 다양한 자료 및 현상들을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경험적 타당성: 이론은 뒷받침해 주는 자료들을 통해 경험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함
- 탐구성: 이론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도전에 의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연구를 촉발시키는 것이어야 함
- 적용성: 이론은 인간 삶에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함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방법론(평가도구의 준거/측정과 척도/신뢰도/타당도) (0) | 2023.11.06 |
---|---|
성격평가의 절차/성격평가의 심리생리적 측정법/성격연구의 방법 (0) | 2023.11.04 |
성격의 정의(성격의 개념/성격의 특징적 요소/성격의 형성) (2) | 2023.11.03 |
요청할 때 좋은 말하기 방법 (1) | 2023.03.29 |
듣기 힘든 말(불편한 말)을 제대로 듣는 방법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