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이란?
내 해석을 섞지 않고 듣는 것, 상대의 마음에만 머무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공감적 듣기의 목표는?
상대가 자신의 자동적 생각을 알아차리고, 자기의 감정을 이해하고, 욕구를 발견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행복하고 아름다운 관계에는 솔직하게 말하는 사람과 잘 들어주는 사람이 더불어 존재합니다.
들어준다는 것은, 내 마음에 잠시나마 상대의 존재를 온전히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상대의 말에 숨겨진 그 사람의 감정과 욕구에 내 모든 의식을 두겠다는 의지적 노력입니다.
동의한다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지요.
그저 상대의 생각, 감정, 필요를 수용하고 이해하겠다는 적극적인 참여의 표현입니다.
습관적 듣기
상대의 말을 들을 때는 상대에게 공감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 가지 표현을 하거나 반응을 하게 됩니다.
우리가 자주 하는 습관적 듣기
맞장구 치기 동정하기 감정 막기 생각 바꾸기 분석하며 조언하기 내 이야기하기 말 자르기 |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온전히 상대의 마음에 집중하는 ‘공감적 듣기’가 아닙니다.
공감적 듣기
침묵 유지하기 호기심 갖기 내 생각 내려놓기 상대의 말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며 듣기 |
공감은 상대의 이야기를 듣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머무는 것입니다.
상대의 이야기에 호기심을 갖겠다고 결심하고 상대가 말하는 지금 이 상황에 함께 있어주는 것입니다.
공감적 듣기의 과정
1 | 상대가 어느 정도 멈출 때까지 가만히 침묵하면서 눈을 보고 들어주기 |
2 | 들은 말을 그대로 반영하거나 요약하고 제대로 들은 건지 물어보기 |
3 | 상대의 현재 감정과 핵심 욕구를 추측해서 말해주고 함께 탐색하기 |
4 | 핵심 욕구와 관련한 계획이 있는지,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보기 |
공감적 듣기의 유익
공감적 듣기의 가장 유익한 기능은, 말하는 사람과 들어준 사람 사이가 좋아진다는 것입니다.
또한, 잘 들어주면 그 사람은 자신의 문제에 대해 명료한 해결을 할 수 있고, 자신이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를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발견함으로써 자기 이해가 깊어집니다.
즉, 하고자 하는 행위에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게 되는 것입니다.
누군가를 돕는다는 것의 핵심은,
그 사람의 내부에 이미 이 문제를 해결할 자원이 있음을 믿는 것입니다.
우리가 무언가 해결해주지 않더라도 말입니다.
우리의 따뜻한 마음만으로도 상대는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 박재연(2021). 사실은 사랑받고 싶었어. 한빛라이프.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청할 때 좋은 말하기 방법 (1) | 2023.03.29 |
---|---|
듣기 힘든 말(불편한 말)을 제대로 듣는 방법 (0) | 2023.03.26 |
공격적인 말, 악성 댓글을 지혜롭게 해석하는 방법 (0) | 2023.03.24 |
감정 표현을 잘 하지 않는 아이 돕는 방법 (0) | 2023.03.23 |
우리 아이 건강한 식습관 만들기 (0)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