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의 배경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연구는 소화에 관한 20년 간의 연구로 1904년에 노벨상을 수상했던 러시아의 생리학자인 파블로프(I. P. Pavlov)가 자신의 관심을 학습에 돌렸을 때에 시작되었다.
파블로프의 연구에서 개는 수일 동안 여러 번의 검사를 연속적으로 받았다. 매회기마다 음식이 주어지고 침 분비를 측정하였다. 파블로프는 여러 차례 검사를 받은 개를 연구하던 중 실험실에 새로 들어온 피험 동물과는 다르게 경험이 많은 개는 음식이 제시되기 전에, 단지 음식을 보거나 냄새를 맡거나 심지어 음식 접시만을 보고서도 침을 흘리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로 인해 그는 음식접시 이외의 불빛이나 소리와 같은 다른 것들을 연합시키는 것을 개에게 가르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의 실험들은 이 분야의 연구에서 고전적인 것이었으며, 그가 연구한 현상을 ‘고전적 조건형성’이라고 한다.
고전적 조건화의 개념
고전적 조건형성이란, 원래 중립적인 조건 자극과 반응을 유발시키는 무조건 자극 간의 반복적인 연합의 결과로, 조건 자극으로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파블로프의 실험에 의하면,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CS, 종소리)이 무조건 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S, 음식)보다 먼저 제시되는데, 여기서 무조건 자극은 자동적으로 무조건 반응(Unconditioned Response: UR, 침 분비)을 일으킨다.
이 실험에서 조건 자극과 무조건 자극 간의 반복적 연합의 결과로 조건 자극만으로도 무조건 반응과 같거나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게 되며, 이 반응을 조건 반응(Conditioned Response: CR, 침 분비)이라 부른다.
조건화 이전
무조건 자극
유기체로부터 자연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을 유발한다. 즉, 침 분비나 눈 깜빡임과 같은 생리적 반사를 일으키는 일련의 자극이다.
무조건 반응
무조건 자극에 의해 자연적이고 자동적으로 나오는 반응이다. 즉, 무조건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학습되지 않은 본래적이며 불수의적인 생리적 반사이다.
중성 자극(Neutral Stimulus: NS)
유기체로부터 자연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즉, 보고 듣고 냄새맡는 것과 같은 감각 반응을 일으키지만 검증 목표가 될 반사는 일으키지 않는 일련의 자극이다.
조건화 과정
무조건 반응을 유발하는 무조건 자극과 중성 자극을 반복 연합시켜 제시함으로 중성 자극이 조건 자극으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이다. 즉, 습득 또는 연합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조건화 이후
무조건 자극이 제시되지 않고 무조건 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 제시된 중성 자극만 제시한 상황에서 무조건 반응과 유사한 반응이 나타나게 되면 중성 자극은 더 이상 중성 자극이 아닌 조건 자극이 되며, 조건 자극으로 인해 나타나는 반응은 조건 반응이 된다. 즉, 이러한 요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혼합되는 것이다.
파블로프의 실험
먼저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준다. 개는 종소리에 침을 분비하지 않는다. 종소리를 들려준 후 곧바로 음식을 제시한다. 그런 절차를 여러 번 반복하면 개는 매번 침을 분비한다.
이번에는 음식의 제공없이 종소리만 들려준다. 개는 침을 분비한다. 중성자극은 조건 자극이 되었고 그것에 대한 반응은 조건 반응이 되었다.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된 현상
소거
조건 자극이 무조건 자극없이 반복적으로 제시됨에 따라 더 이상 조건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다. 즉, 종소리만 들려주고 음식을 주지 않는다면 침분비 반응은 줄고 점차 사라지게 된다.
자발적 회복
더 이상의 조건화 시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뒤에 조건 자극이 제시되면 조건 반응이 다시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자발적 회복은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처음의 조건 반응보다 강도가 훨씬 작다.
일반화
특정 조건 자극(100㏈의 종소리)에 대해 조건 반응(침 분비)을 학습한 유기체가 조건 자극과 유사한 자극(90㏈ 또는 110㏈의 종소리)에 대해서도 유사한 조건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변별
조건 반응을 유발시키는 조건 자극(100㏈의 종소리)과 그 외의 자극(90㏈ 또는 110㏈의 종소리)을 구별하는 것이다. 즉, 침 분비를 유발시키는 종소리와 다른 종소리를 구별하는 것이다.
이차적(고차적) 조건형성
종소리와 손뼉소리를 반복하여 제시하면 손뼉소리에도 침 분비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여점과 한계점
기여점
첫째, 학습이 이루어지는 연합의 원리를 경험적인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이끌어 냄으로써 행동수정 이론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둘째, 인간학습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아동의 양육 및 교육, 임상적 심리치료에 기여하였다.
셋째, 반사행동은 인간에게도 나타날 수 있으며, 새로운 자극에 대한 변화와 학습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넷째, 비록 조건 반응이 단순하지만 자극과 반응적 실험의 기본원리가 일치하며, 이 실험으로 체계적 실험의 시작을 보여주었다.
한계점
첫째, 동물실험의 결과를 그대로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비판이다.
둘째, 기본적으로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파악하였기 때문에 인간성의 한 측면에만 국한된 견해이다.
셋째, 자발적‧수의적 행동에 관한 것은 조절하기 어렵다.
넷째, 놀람, 두려움, 즐거움 등 자동적으로 유발되는 반사적 행동에 제한된다.
다섯째, 객관적 관찰과 측정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관계로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설명하였다.
<참고문헌>
천성문 외 6인. (2011).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홍대식. (2008). 현대 심리학개론. 박영사.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작적 조건형성의 배경, 개념, 스키너 실험, 강화와 처벌, 강화계획, 기여점과 한계점 (2) | 2022.09.30 |
---|---|
도구적 조건형성의 배경, 개념, 손다이크의 실험, 조건화가 이루어지는 학습원리(효과의 법칙, 연습의 법칙, 준비성의 법칙), 기여점과 한계점 (2) | 2022.09.30 |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초기 목표 및 치료 (1) | 2022.09.29 |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원인 (0) | 2022.09.29 |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개념, 진단기준, 발병률 및 특징, 심각성, 치료의 예후 (2) | 2022.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