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원인

by 감사와 기쁨 2022. 9. 29.
반응형

거식증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뇌에서의 심각한 화학적 결함이나 시상하부의 교란에 기인한 신체적 무질서 또는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심리적 교란, 관심을 끌고자 하는 동기, 지나치게 간섭하는 부모에 대한 반응, 성장에 대한 두려움, 날씬해져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에 대한 반응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크게 개인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적 원인

 

  • 심리적 원인

부정적인 신체상

신체상(body image)이란 신체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이다. 거식증 환자는 자신의 신체를 실제보다 더 크고 뚱뚱하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DSM- 의 진단준거에 따르면, 신체상 왜곡은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4가지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신체만족도는 자신의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서 일차적으로는 체중이나 체형, 부모의 체중, 연령이나 성별과 같은 객관적 지표의 영향을 받는다. 체중과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체중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신체만족도가 낮다.

그러나 신체만족도는 외모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이므로 객관적 지표보다 스스로 만족하는 정도나 주변의 평가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기도 한다. 정상체중이라도 미국 여학생의 40%가 자신이 과체중이라고 생각하고, 우리나라 청소년 가운데 실제 비만은 20% 미만이나 중고등학생 30% 이상이 자신이 뚱뚱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결과는 체중 이외에 다른 요인이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낮은 자아존중감

Rosenberg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이란, 자아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태도이다. 자신이 가치있고 자기수용 가능한 존재라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낮은 자아존중감이란 자기 거부, 자기 불만족, 자기 모욕을 의미한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거식증 환자는 정상인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아존중감이 낮기 때문에 날씬해야 한다는 문화적 압력에 더 취약하며 그래서 더욱 쉽게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이 있다. 다이어트를 행한 기간이 길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며, 자아존중감과 신체불만족은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 생물학적 원인

전 생애 발달단계에서 청소년기는 태아기에 이어 제2의 뚜렷한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또한 전반적인 자기지각에 있어서 특히 신체적인 지각이 매우 예민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들은 흔히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된 이상적인 체형과 자신의 신체를 비교하며 자신의 체형을 실제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해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신의 외모 및 체형이 본인이 속한 또래집단에 의해 승인되는지의 여부에 매우 민감하며, 이러한 특성은 청소년의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환경적 원인

 

  • 가족 원인

부모가 신체에 대해 갖는 감정이나 태도들은 자녀가 자신의 신체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를 배우는데 있어서 매우 강력한 역할을 한다.

청소년의 신체만족도는 미디어, 부모, 또래집단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 또래집단은 외모비교, 대화, 놀림 등을 통해 미디어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러나 또래집단과 부모와의 영향력에 주목하고 또래집단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세분화하여 외모에 대한 또래집단과의 대화와 놀림을 분석한 연구에서, 또래집단보다 부모가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만족도는 주관적 인지로 미디어나 또래를 통해 형성되기에 앞서 부모의 영향을 받고, 부모는 친밀감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내용을 전달하여 활발한 인지 작용을 가능하게 함으로 미디어보다 즉각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족 간 의견을 자유롭게 표명하지 못하고 커뮤니케이션이 폐쇄적이거나 질이 낮은 가정에서 섭식장애가 쉽게 발생한다.

또한 부모가 자신의 체중에 대해 불만을 표현하거나 체중감량을 시도하는 행위는 청소년기 자녀의 체중감량 행위로 이어진다. 그러나 부모의 태도나 행위보다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모가 자녀에게 직접 체중관리를 권하거나 체중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한편, 미디어 이용은 가정의 테두리 안에서 일어나고 세상과 소통하고 환경을 감지하며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가에 관한 경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부모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부모는 자녀의 미디어 이용정도에 영향을 주며 그 효과를 중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 사회문화적 압력

사회문화적인 영향이 직접적으로 장애에 반영되는 경우는 섭식장애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사회문화적 요인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이유는, 청소년기나 초기 성인기의 중요 발달과업이 친밀한 인간관계의 수립, 사회진출과 적용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외모가 이러한 과업의 성취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지므로, 이시기의 사람들은 자신의 외모와 체형에 대한 타인의 평가에 매우 예민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문화적 압력요인들 중 친밀한 사람들의 외모에 대한 태도와 피드백은 후기 청소년기 이상섭식에 특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래집단

또래집단은 청소년들이 본인 스스로를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타인으로부터의 인정을 받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청소년기는 그 어느 시기보다 또래에 의한 신체 놀림이나 체중을 줄이라는 압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보인다.

친구들로부터의 압박을 지각한 청소년들은 부정적인 섭식행동을 보고했고, 이러한 외부적 압박이 그들과 가까운 대상으로부터 올 때 더욱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그로 인해 무리한 다이어트, 폭식, 구토유발과 같은 이상섭식행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친구들의 체중에 대한 강조와 체중에 대한 놀림을 받은 여성들은 섭식제한을 하게 되고 자신의 신체에 대해 지나친 염려를 하게 된다.

 

대중매체

개인의 체형에 관한 태도 형성에는 친밀한 관계 뿐 아니라 대중매체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중매체들은 체형에 관한 태도들과 외모에 관한 사회적 메시지들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섭식장애 여성의 수치가 계속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몇 년동안 10~30대의 젊은 여성들이 스마트폰으로 많이 이용하는 Instagram이나 Facebook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더욱 보편화되면서 개인의 사생활을 적극적으로 노출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TV뿐 아니라 SNS상에서도 날씬하고 마른 몸매의 여성들의 자극적인 모습이 일상에 보다 구체적으로 관여하게 됨으로, 마른 몸매에 대한 신념은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런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인해 사회가 신체적 매력과 날씬함에 가치를 두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그로 인해 비만이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회문화적 압력은 모든 연령의 여성들에게 은연 중에 내재화되어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강력하게 작용된다.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개념, 진단기준, 발병률 및 특징, 심각성, 치료의 예후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초기목표 및 치료


<참고문헌>

 

이경희. (2022). 임상심리사 2급 필기. 다락원.

정옥분. (2008). 발달심리학. 학지사.

정옥분. (2009).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권다예. (2017). 한국 여자 청소년들의 섭식 장애의 사회적 요인-가족적 측면을 중심 으로 (석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규민. (2000). 청소년의 섭식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 전· 충남 지역 여고 생의 신경성 섭식성향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노지혜. (2018). 10~30대 섭식장애 여성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석사학위, 서울여 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조승희. (2014). 섭식장애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단일사례연 구 (석사학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나희 & 김교헌 & 김수현. (2015).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절식태도와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불만족과 마음챙김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 강 20(3), 527-546.

안귀여루. (2012). 사회문화적 압력이 여고생의 신체 불만족과 이상섭식행동에 미치 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963-977.

조윤경. (2010).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이용, 그리고 가족커뮤니케이 션의 관계. 한국언론. 54(2). 201-232.

Psychiatrist L. 거식증 (Anorexia nervosa) 증상과 치료에 대하여.

https://blog.naver.com/limgye1/222726999411

Psychiatrist L. 거식증(anorexia nervosa)의 치료방법과 예후에 대하여.

https://blog.naver.com/limgye1/222727135608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