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 효과의 원칙
아이의 발달 과정에 맞추어 진행한다.
뇌 발달 전문가가 권하는 학습 시기
첫째, 5세 경에 종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전두엽이 발달하므로, 자신이 바라보는 세상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준다.
둘째, 언어나 수와 관련된 학습은 언어 발달과 관련된 측두엽이 발달하는 6세 이후에 시키는 것이 좋다.
셋째, 사고력이 발달한 후 교육시키면 한글 깨치기가 쉬워진다.
효과적인 한글 교육법
첫째, 사고력이 갖춰질 때까지 기다린다.
둘째, 다양한 경험으로 한글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셋째, 간판이나 과자 이름 등을 일상생활 속에서 통으로 가르친다.
넷째, 재미있는 동화책을 많이 읽어준다.
다섯째, 집 안 곳곳에 사물 카드를 붙여준다.
여섯째, 아이의 흥미가 일어나는 순간을 포착하여 이해 가능한 글자를 소개한다.
일곱째, 흥미를 느끼는 글자를 손가락으로 짚어가며 가르쳐 준다.
여덟째, 같은 글자를 100번 질문해도 친절하게 답해준다.
참고: 신의진(2007). 아이 심리백과. 갤리온
이원영(2008). 100년 후에도 변하지 않는 소중한 육아 지혜. 샘터사
반응형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수, 결혼식, 동조/한국 사회에서 결혼식과 혼수에 대한 사회적 체면, 동조, 개인의 태도 (0) | 2022.08.15 |
---|---|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정의, 원인, 증상, 지도하는 방법/전략 (0) | 2022.08.15 |
뇌 발달, 두뇌 발달, 두뇌 계발/아이 두뇌 발달에 좋은 교육법/유아 두뇌 계발 교재 교구 사용시 주의점 (8) | 2022.08.07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감소 방법 – 꾸지람 (8) | 2022.07.20 |
정서지능과 창의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 (6) | 2022.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