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행동수정을 위한 고정 비율 강화 계획, 강화와 벌, 강화와 벌의 관계

by 감사와 기쁨 2022. 12. 6.
반응형

고정 비율 강화 계획

행동수정에서는 고정비율 강화 계획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일정량의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할 경우 10문제를 풀면 강화를 주는 것이다.

 

행동수정에서 고정 비율 강화 계획을 사용하는 이유

- 간헐 강화는 부분적으로 강화를 운영하기 때문에 계속 강화보다 반응 비율이 높다.

- 간헐 강화는 포화가 서서히 일어나서 계속 강화보다 강화물이 오래 유효하기 때문에 소멸도 천천히 일어난다.

- 고정 비율 강화 계획에 따라 훈련을 하게 되면 훈련 상황 밖에서 일어나는 간헐 강화에 의해 표적 행동이 유지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강화

강화물의 종류

정적 강화물 어떤 행동에 대한 조건으로 제시하여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것
부적 강화물 어떤 행동에 대한 조건이 제시되지 않았을 때 행동을 발생시킬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반응 다음에 불쾌감이 제거되어 반응을 강화시키는 것
일차적 강화물 특별한 훈련 없이도 학습자의 행동을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자극으로, 미각, 배고픔, 갈증 등과 관련된 것
) 음식, 물 등
이차적 강화물 원래는 중성자극이었던 것이 강화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다른 자극과 짝지워짐으로써 강화능력을 얻게 되는 학습된 강화물
) 용돈, 칭찬, 격려, 애정, 승진, 포상 등

 

강화의 원리

-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는 칭찬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한다.  

강화의 효과는 개인차가 있다

- 강화는 행동 직후에 바로 제시한다

작은 강화물을 자주 주는 것이 큰 강화물을 가끔 주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행동을 한 후에 강화를 준다.

노력에 상응하는 보상을 준다

 

벌의 종류

(Punishment) 어떤 행동의 발생 빈도를 감소하게 하는 과정
수여성(presentation)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한 후에 불쾌한 자극을 제공하는 것
) 체벌, 꾸중
제거성(removal)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한 후에 유쾌한 자극을 제거하는 것
) TV 시청 금지, 스마트폰 사용 30분 금지

 

벌의 원리

강화행동은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지만, 벌은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저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부적 강화는 선행하는 반응을 증가시키지만, 벌은  선행하는 행동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 벌은 수여성 (적극적인 벌) 제거성 벌(소극적인 )로 나뉜다.

벌을 적용할 때는 수여성 벌 대신 제거성 벌(time-out, empty chair)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거성 벌이 강화로 사용될 수도 있다

- 잘못된 행동의 동기가 강할 때는 벌 벌보다는 강화인을 찾아서 없애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벌의 관계

자극 제공 제거
정적 강화물 정적 강화
(칭찬, 선물, 용돈)
제거성 벌
(TV 시청 금지)
부적 강화물 수여성 벌
(체벌, 꾸중)
부적 강화
(청소 면제, 숙제 면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