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달 수준의 판단 기준
① 발달 지연이 있다.
② 발달적 퇴행이 나타난다.
③ 행동 결핍(행동의 빈도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음)이 있다.
행동 결핍이나 행동 과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발생한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행동 결핍의 예) 단어를 분명하게 발음하지 않는다. 밖에 나가서 놀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친절에 감사표현을 하지 않는다. 또래 친구들과는 대화를 잘하지만 어른들과는 대화를 어려워하고 당황스러워한다. |
④ 행동 과잉(행동의 강도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음)이 있다.
행동 과잉의 예) 화가 날 때 물건을 집어 던진다. 아이가 어른들의 대화에 끼어든다. 축구공을 차기 전에 이번 공을 잘 못차면 질거라고 생각하고 불안감을 갖는다. 친구들과 놀다가 식사 시간을 잊고 집에 늦게 들어와서 주의를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주일에 6일 동안 놀다가 늦게 들어와 저녁시간을 놓친다. 자해행동과 같은 행동 과잉은 맥락에 상관없이 부적절한 것이다. |
⑤ 행동상의 문제가 일정 시간 지속된다.
⑥ 행동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나타난다.
반응형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착과 문제행동/애착의 개념, 애착 유형, 애착과 문제행동의 관계 (1) | 2022.12.03 |
---|---|
기질과 문제행동/기질의 개념, 기질의 진단,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 (0) | 2022.12.02 |
문제행동의 개념, 정의,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기준, 문제행동에 대한 주관적 평가 척도 (0) | 2022.12.02 |
행동수정의 이론적 가정 (0) | 2022.12.02 |
부적 강화/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