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attachment)의 개념
한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서 느끼는 강한 감정적 유대관계로서 근본적으로 선택적인 경향이 있다.
소수의 제한된 대상에 대해서 형성되는데, 애착 대상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싶고 근접해 있고 싶은 욕구가 형성된다.
애착 유형
엄마가 아가이게 주는 자극의 양, 반응의 민감성과 안정성 등 엄마와 아기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상이한 애착 유형이 나타난다.
Ainsworth(1973)는 한 살 무렵의 아기를 안락하고 장난감이 많이 있는 낯선 놀이방에서 20분 동안 놀게 하고 그들의 행동을 관찰하는 실험을 하였다. 엄마와 있을 때, 낯선 사람과 함께 있을 때, 엄마와 다시 만났을 때의 아기의 행동을 관찰하여 세 가지의 애착 유형을 제시하였다.
안정 애착(secure attachment, B유형, 전체 유아의 60~65%)
낯선 상황에서 엄마가 있는 동안 가끔 엄마에게 가까이 가서 몸을 대보고 엄마가 떠났다고 다시 들어오자 열렬히 반긴다.
아기는 친숙한 상황에서 엄마가 잠시 떠나는 것에 대해 크게 분리불안을 보이지 않고, 엄마는 아기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스스로 노는 것을 충분히 허용해 준다.
불안정 회피 애착(insecure-avoidant attachment, A유형, 전체 유아의 20%)
아기는 엄마가 떠나도 별다른 동요를 하지 않고 다시 들어와도 다가가려 하지 않으며 무시한다.
엄마는 아기의 요구에 무감각하고 신체접촉이 적으며 화가 나 있거나 초조하고 아기를 거부하듯이 대한다.
불안정 저항 애착(insecure-resistant attachment, C유형, 전체 유아의 10~15%)
아기는 엄마의 접촉 시도에 저항하는 경향이 높고 엄마가 곁에 있어도 잘 울거나 보채며 엄마가 떠나면 극심한 불안을 보인다.
엄마가 돌아오자 화를 내긴 하지만 곁에 있으려고 한다.
엄마는 아기의 요구에 무감각하고 아기를 다루는 방식이 어색하지만 화가 나 있거나 아기를 거부하는 느낌은 없다.
불안정 혼돈 애착(insecure-disorganized attachment, D유형, 전체 유아의 5%)
회피와 저항의 복합된 반응이 나타난다.
아기는 낯선 상황에서 엄마가 돌아오면 처음에는 다가가서 안겼다가 화난 듯이 밀어버린다.
엄마는 아기의 접촉 요구를 무시하거나 구박하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애착과 문제행동의 관계
정서 발달
애착 형성 시기에 장기간의 출타나 입원 등으로 애착 대상과 떨어지거나 간헐적으로 낯선 사람에게 맡겨진 유아는 불안과 공포의 정서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고, 이런 불안은 성장 후 대인 불안(interpersonal anxiety)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사회성 발달
영아기 애착의 질은 성장 후 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안정 애착 아동은 불안정 애착 아동에 비해 친구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더 밀접한 우정관계를 가진다.
안정 애착 아동은 긍정적인 자아인지를 보이면서 자신의 한계를 수용하고 인정하지만, 불안정 회피 애착 아동은 자신을 완벽하게 보이려는 경향이 높다.
인지 발달
안정 애착 유아는 낯설거나 복잡한 대상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탐색 활동을 보이지만, 불안정 애착 유아는 지적 호기심이 낮고 문제해결 과제나 놀이가 주어졌을 때 과업 몰입도가 낮으며 지속적이지 못하고 즐거워하지 않는다.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효능감/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 (0) | 2022.12.08 |
---|---|
행동수정을 위한 고정 비율 강화 계획, 강화와 벌, 강화와 벌의 관계 (2) | 2022.12.06 |
기질과 문제행동/기질의 개념, 기질의 진단,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 (0) | 2022.12.02 |
발달 수준의 판단 기준/발달 지연, 퇴행, 행동 결핍, 행동 과잉, 문제행동 지속, 갑작스러운 변화 (0) | 2022.12.02 |
문제행동의 개념, 정의,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기준, 문제행동에 대한 주관적 평가 척도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