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가치관 변화에 대한 원인
전통적 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 간의 갈등과 모순
- 오늘날 한국의 청소년은 전통적인 가치관으로부터 매우 많이 이탈하면서 새로운 가치관 형성 과정에 있다.
전통적 가치관의 약화와 새로운 가치관의 미확립
- 전통적 가치관의 약화와 새로운 가치관의 미확립은 아노미 현상을 초래하여 청소년 가치관에 혼란을 줄 뿐 아니라 방향 감각을 잃게 한다.
- 세계화·개방화 체계를 지향하는 민주주의 이념
- 급속하게 팽창된 학교제도
- 매스컴을 통한 외국 문화의 도입은 전통으로 청소년을 통제하였던 도덕과 규범의 기능을 잃게 만들었고, 전통적인 윤리의식 약화와 새로운 도덕·규범 및 합리성은 종래에 금기시했던 일들을 예사로 하게 만들었다.
극단주의
- 서구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맹종함으로 한국의 전통적 가치관을 열등한 것으로 생각하며 서구식 문화와 생활을 모방한다.
- 국수주의적 입장에서 한국적인 것만을 우수한 것으로 생각하는 극단적 배타주의도 나타난다.
- 개인주의와 자율성이 보장되는 사회에서의 개방적인 성도덕은 변하는 사회에 개인을 적응시킬 수 있게 하지만, 권위주의적·생산지향적인 사회에서의 개방적인 성도덕은 사회에 퇴폐 풍조를 가져온다.
- 외래적인 풍조의 무비판적인 도입도 지나친 배타주의도 모두 경계해야 한다.
- 급변하는 사회변동 과정에서 사회의 가치 체계 혼란 및 문화 단절 현상이 발생된다.
- 가정, 학교, 대중매체, 또래집단 등 여러 사회화 기관이 제시하는 역할 모형이 서로 상치되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부담이 가중된다.
- 나름대로의 가치관을 분명하게 형성하지 못한 상황에서 갈등과 혼미를 경험하게 되면 주체성 없이 수동적으로 살아가게 된다.
청소년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한 과제
- 과도기로서 미래에 대한 꿈과 이상 때문에 기성세대 문화에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기 쉽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 대부분의 기성세대는 보수세력을 형성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청소년층은 진보적, 도전적, 모험적, 개척적임을 기억해야 한다.
- 청소년들은 기성세대의 성장 과정보다 훨씬 급진적으로 변하고 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 기성세대의 가치관이 급변하는 사회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 청소년들이 이 사회에 새로운 가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기성세대보다 더 민감하게 느끼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 청소년들은 급변하는 현대 역사 속에서 내일의 가치를 형성해 가는 대진행의 대열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 청소년 문화가 기성 사회에 새로운 바람을 넣어줄 수 있고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지 않을 만큼 기성세대의 문화와 조화를 이루게 되면, 사회가 바라는 바람직한 가치관이 형성될 수 있다.
- 사회가 안정되어 옳은 것과 그른 것에 대한 기준이 분명하면 가치관도 올바로 확립될 수 있지만, 사회가 불안하고 사회질서가 파괴되어 규범과 가치가 혼란한 상태가 되면 올바른 가치관 형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립된 가치관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아를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 청소년들에게 가치관 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면, 청소년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부모와 기성세대 전체의 문제일 수 있다.
- 청소년 가치관 확립은 청소년 자신을 위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
- 청소년의 가치관 확립을 위해서는 기성세대와 청소년 세대가 합의된 공동의 가치관을 찾아 바람직한 방향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혼 가족, 다문화 가족/문제점, 부모 역할 (0) | 2022.10.09 |
---|---|
맞벌이 가족, 한부모 가족/문제점과 부모 역할 (0) | 2022.10.09 |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의 문제/마샤의 자아정체성 발달론 (2) | 2022.10.08 |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 8단계/에릭슨의 사회심리학적 발달론의 각 단계별 공통점 (0) | 2022.10.08 |
자아정체성의 개념/정체성의 의미 (0) | 2022.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