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가족
부부 모두가 직업을 가지고 가족을 위한 경제활동을 하는 가족이다.
맞벌이 가족이 늘어나는 이유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 자아실현 욕구의 증가, 가족계획으로 인한 자녀양육 기간의 단축, 가정 기기의 과학화로 인한 가사 노동의 간편화,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여성 노동력의 수요 증가 등으로 맞벌이 가족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맞벌이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부정적인 측면 | 여성에게 일과 가사노동, 자녀 양육의 부담이 증가하게 됨 여성이 슈퍼우먼 콤플렉스에 시달릴 수 있음 |
긍정적인 측면 | 부부 간 동료의식을 공유할 수 있음 부인이 성취감을 맛보거나 자아실현의 가능성이 높아짐 가계소득이 증가됨 |
어머니의 취업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어릴 때부터 덜 전통적인 성 역할을 경험할 기회가 증가하고 어머니가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 자녀에게 바람직한 역할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어머니 자신의 취업에 대한 태도가 중요하다.
한부모 가족
한부모가족지원법
부모 중 한 사람만이 18세 미만의 아동인 자녀(취학 중인 경우 22세 미만)를 양육하는 가족이다. 모 또는 부 중 한 사람이 사별, 이혼, 배우자로부터 유기, 미혼자의 자녀 출산, 정신이나 신체장애로 장기간 노동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지는 등의 이유와 조손 가족이 포함된다.
한부모 가족의 문제점
경제적 어려움
- 한부모 가족의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부자가족보다 모자가족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며, 경제적 어려움은 자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부모의 장시간 노동은 자녀의 식사, 생활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자녀의 용돈부족은 도벽이나 폭력 등 사회문제로 연결되기도 한다.
역할 과중
- 양부모 가족생활을 하다가 한부모 가족이 된 부 또는 모는 한부모가 됨으로써 다른 한쪽의 부모역할까지 수행해야 하므로 역할 긴장과 역할과중을 경험하게 된다.
- 한부모의 역할과중은 자녀 양육과 감독 능력의 손상을 일으킬 뿐 아니라 부모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역할 갈등이란? 한 개인에게 기대되는 역할들의 상충으로 가족생활에 긴장이 초래되는 현상 역할 과중이란? 역할 수행자가 맡고 있는 역할들을 편안하게 수행하지 못할 만큼 과도한 양의 역할이 부여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 |
정서적 문제
- 부모 가족이 된 부모는 우울과 분노, 가족과 역할의 상실, 자녀에 대한 죄의식, 전 배우자에 대한 애착 등을 경험하게 된다.
- 부모의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은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부모의 심리적 어려움은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아동이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면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커지게 되어 부모와 아동 간의 관계가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사회적 관계망의 축소
- 한부모 가족은 의도적으로 전 배우자와 함께 형성하였던 사회적 관계를 회피하게 되므로, 사회적 관계망이 축소되고 더불어 사회적 지원의 양도 감소하게 된다.
- 한부모 가족의 부모는 사회활동에 참여하거나 대인관계 형성 시 주변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적응에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부모 가족의 부모 역할
이혼으로 형성된 한부모 가족의 경우
- 부모가 낮은 자존감, 우울 등으로 혼란된 양육방식을 취하게 되면 자녀의 문제가 증가된다.
- 엄격한 규준에 따라 자녀를 통제하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중시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혼 후 부모가 반응적・수용적・온정적인 경우
- 이혼으로 인한 유기에 대한 자녀의 불안감이 감소되고 안정감이 강화되어 잘 적응하게 된다.
온정성이 낮은 독재적 양육 행동을 보이는 경우
- 아동은 침울하고 쉽게 화를 내며 적대적인 경향이 있다.
- 정서적 문제와 학업 수행에서 문제를 더 많이 보인다.
-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된다.
부모가 적절한 감독을 하는 경우
- 취침시간, TV 시청 시간, 숙제 점검 등의 적절한 감독이 이루어지면 자녀가 잘 적응한다.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교육의 중요성/부모의 역할/자녀와 대화하는 기술 (0) | 2022.10.09 |
---|---|
재혼 가족, 다문화 가족/문제점, 부모 역할 (0) | 2022.10.09 |
청소년들의 가치관 변화에 대한 원인/청소년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한 과제 (0) | 2022.10.08 |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의 문제/마샤의 자아정체성 발달론 (2) | 2022.10.08 |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 8단계/에릭슨의 사회심리학적 발달론의 각 단계별 공통점 (0) | 2022.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