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자아정체성의 개념/정체성의 의미

by 감사와 기쁨 2022. 10. 8.
반응형

자아정체성의 개념

-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총체적인 느낌 및 인지를 뜻하는 심리학적 용어이다.

- 자아정체성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일관성에 대한 느낌으로, 유아기의 자기에 대한 개념에서 발달하여 청소년기에 중요하게 대두된다.

- 인간은 자신의 과거의 노력, 현재의 문제점들, 미래의 기대 간에 일관성을 추구하는 존재로서 기본적으로 정체성을 추구하는 동물이다(Erikson, 1968).

자아정체성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과업이고, 이에 결정적 시기는 청소년기라고 하였음
자아 정체감 유아기와 아동기를 통해 자기(self)에 대한 개념을 발달시키는 데서 출발하며, 청소년기 이르러 다양한 사회적 갈등과 생물학적 성숙간의 괴리를 해결하려는 노력 끝에 확립됨

 

정체성의 의미

 

‘~로서의 나’ 간의 통합감

- 한 개인은 남자로서의 나, 아들로서의 나, 누구의 친구로서의 나, 학급의 구성원으로서의 나 등 다양한 지위와 역할을 부여받는다..

- 정체성은 이런 다양한 지위에 따른 역할들 간의 통합감을 의미한다.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미래의 나 간의 연속성(일관성)

- 어제와 오늘, 내일의 내가 어떤 행동을 할지 알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서 항상 신뢰감을 느낄 수 있는, 자아의 시간적 연속성을 의미한다.

- 자신과 타인에게 믿음과 정신적 안정감을 주고, 삶의 가치를 명료하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주체적 자아와 객체적 자아 간의 조화감

- 주체적 자아가 지나치게 발달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지 못한 채 자신에게만 몰두되어 있는 도취된 사람이다.

- 객체적 자아가 지나치게 발달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 행동, 생활 등을 모방하거나 추종하고 타인들의 눈과 의식에 맞추어 자기를 만들어 나가는 자아를 상실한 사람이다.

- 정체성이란 주체적 자아와 객체적 자아의 완전한 조화로서,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함과 동시에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나는 나다’라는 실존 의식

- ‘라는 존재는 생물학적으로 부모님의 자식이지만, 실존적 의미로는 누구로부터의 존재가 아닌 오직 나인 것이다.

- 이러한 존재는 어느 누구로부터의 간섭도 배제할 수 있는 절대적 자유를 지님과 동시에, 오직 나 혼자라는 근원적인 소외감과 불안감을 갖게 된다.

- 소외와 불안을 극복하려는 의지에는 자기 선택과 자기 책임이 따른다.

- 선택에 따라 소외와 불안을 극복하는 것은 험난한 과정이므로 자유인으로서의 자아와 또 다른 자유인으로서의 타아 간의 진정한 만남을 필요로 한다.

- 이러한 만남 관계에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완전한 책임이 없다면 자유인으로서의 가치는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 의해 무시당하게 된다.

- 절대적 자유와 자기 선택, 참 만남, 완전한 책임을 수반하는 실존적 자아의 상태를 자아정체성이라고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