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정체성의 개념
-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총체적인 느낌 및 인지를 뜻하는 심리학적 용어이다.
- 자아정체성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일관성에 대한 느낌으로, 유아기의 자기에 대한 개념에서 발달하여 청소년기에 중요하게 대두된다.
- 인간은 자신의 과거의 노력, 현재의 문제점들, 미래의 기대 간에 일관성을 추구하는 존재로서 기본적으로 정체성을 추구하는 동물이다(Erikson, 1968).
자아정체성 |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과업이고, 이에 결정적 시기는 청소년기라고 하였음 |
자아 정체감 | 유아기와 아동기를 통해 자기(self)에 대한 개념을 발달시키는 데서 출발하며, 청소년기 이르러 다양한 사회적 갈등과 생물학적 성숙간의 괴리를 해결하려는 노력 끝에 확립됨 |
정체성의 의미
‘~로서의 나’ 간의 통합감
- 한 개인은 남자로서의 나, 아들로서의 나, 누구의 친구로서의 나, 학급의 구성원으로서의 나 등 다양한 지위와 역할을 부여받는다..
- 정체성은 이런 다양한 지위에 따른 역할들 간의 통합감을 의미한다.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미래의 나 간의 연속성(일관성)
- 어제와 오늘, 내일의 내가 어떤 행동을 할지 알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서 항상 신뢰감을 느낄 수 있는, 자아의 시간적 연속성을 의미한다.
- 자신과 타인에게 믿음과 정신적 안정감을 주고, 삶의 가치를 명료하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주체적 자아와 객체적 자아 간의 조화감
- 주체적 자아가 지나치게 발달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지 못한 채 자신에게만 몰두되어 있는 도취된 사람이다.
- 객체적 자아가 지나치게 발달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 행동, 생활 등을 모방하거나 추종하고 타인들의 눈과 의식에 맞추어 자기를 만들어 나가는 자아를 상실한 사람이다.
- 정체성이란 주체적 자아와 객체적 자아의 완전한 조화로서,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함과 동시에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나는 나다’라는 실존 의식
- ‘나’라는 존재는 생물학적으로 부모님의 자식이지만, 실존적 의미로는 ‘누구로부터의 존재가 아닌 오직 나’인 것이다.
- 이러한 존재는 어느 누구로부터의 간섭도 배제할 수 있는 절대적 자유를 지님과 동시에, 오직 나 혼자라는 근원적인 소외감과 불안감을 갖게 된다.
- 소외와 불안을 극복하려는 의지에는 자기 선택과 자기 책임이 따른다.
- 선택에 따라 소외와 불안을 극복하는 것은 험난한 과정이므로 자유인으로서의 자아와 또 다른 자유인으로서의 타아 간의 진정한 만남을 필요로 한다.
- 이러한 만남 관계에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완전한 책임이 없다면 자유인으로서의 가치는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 의해 무시당하게 된다.
- 절대적 자유와 자기 선택, 참 만남, 완전한 책임을 수반하는 실존적 자아의 상태를 자아정체성이라고 한다.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의 문제/마샤의 자아정체성 발달론 (2) | 2022.10.08 |
---|---|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 8단계/에릭슨의 사회심리학적 발달론의 각 단계별 공통점 (0) | 2022.10.08 |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의 세 가지 차원/연령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발달 (0) | 2022.10.08 |
아동의 사회성 발달/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친구관계의 발달, 도덕성 발달 (0) | 2022.10.07 |
아동기 정서 발달/아동기 정서의 특징, 유형(공포, 분노, 질투, 애정, 불안, 호기심, 우울), 우울 정서의 원인 (2) | 2022.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