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불안장애/범불안장애, 분리불안장애

by 감사와 기쁨 2022. 8. 27.
반응형

불안의 개념

불안은 명확한 대상을 가지지 않는 공포에 대한 감정이다.

위험한 상황에서 적절한 불안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럽고 정상적이며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경계태세를 취하게 하는 적응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너무 민감하면 과도한 긴장과 혼란상태를 초래하게 되고, 너무 둔감하면 위험인식 부족으로 보호기능이 약화된다.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의 정의

현실적인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 느끼는 비현실적인 불안, 현실적인 위험의 정도에 비해 과도하게 느끼는 불안, 위협적인 요인이 사라졌음에도 지속적으로 느끼는 불안 등으로 인해 과도한 심리적 고통을 느끼거나 현실적인 적응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장애를 말한다.

 

불안장애의 유형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s)

 

주요 증상 및 진단

이유를 알 수 없는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적어도 6개월 동안 50% 이상의 날에 나타난다.

이러한 걱정을 통제하기 어렵다고 느낀다.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안절부절 못함, 피로감, 주의집중 곤란, 과민상태, 근육긴장, 수면 방해) 3개 이상이 나타난다.

심각한 고통과 사회적직업적 적응이 곤란하다.

 

범불안장애의 원인

정신분석적 입장 성격구조 간의 역동적 불균형에 의해 부동불안이 나타나는 것이다.
행동주의적 입장 자극상황에 대해 경미한 공포반응이 조건형성되어 나타나는 일종의 다중공포증이다.
인지적 입장 위험에 예민한 인지도식 때문에 잠재적 위험요인의 발생가능성을 과대평가하기 때문이다.

 

범불안장애의 임상적 특징

평생 유병률 5%
1년 유병률 3%
치료기관 방문자 10~12%
증상이 모호하고 고통 정도가 미약해서 치료기관을 찾는 비율이 다른 불안장애에 비해 매우 낮다.
특징 여성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며, 10대 중반~20대 초반에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범불안장애의 치료

약물치료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계열 약물
인지행동치료 걱정에 대한 신념을 수정하여 자기조절능력과 대처능력을 습득시킨다
복식호흡, 긴장이완, 명상 등을 통해 불안을 조절한다.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 등을 병행하여 시도한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mohamed Hassan님의 이미지입니다.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주요 증상 및 진단

주요 증상 중 3개 이상이 6개월 이상 나타난다.

엄마나 주요한 애착대상과 떨어지는 것에 대해 과도한 불안을 느낀다.

애착 대상이나 집을 떠나는 것에 대해 불안을 느낀다.

애착대상의 질병, 부상, 사망에 대해 걱정한다.

애착대상과 분리되는 사건(길 잃음, 납치, 사고, 죽음 등)에 대해 과도하게 걱정한다.

불안으로 인해 외출, 여행, 등교를 거부한다.

애착대상 없이 집에 혼자 있는 것에 대해 공포를 가진다.

애착대상과의 분리 시 반복적인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분리불안장애의 원인

과잉보호 등 부모의 잘못된 양육태도 때문이다.

아동이 독립성은 약하고 의존성이 강하기 때문에 분리불안이 증폭된다.

사소한 사건을 애착대상과의 갑작스러운 분리 암시로 해석하는 인지적 왜곡 때문이다.

 

분리불안장애의 치료

행동치료 점진적 노출, 모델링, 행동강화법
인지치료 불안 유발 사고의 수정
놀이치료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한 불안 감소

참고: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