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분열정동장애(조현정동장애)의 개념, 증상 주기, 진단기준, 특성, 치료, 분열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의 차이

by 감사와 기쁨 2022. 9. 5.
반응형

분열정동장애의 개념

조현병과 관련된 정신증적 행동들(환각과 망상 등)과 함께 주요한 기분장애(주요 우울 또는 조증)의 특징이 모두 나타나는 정신분열 스펙트럼 장애이다.

 

분열정동장애의 증상 주기

증상 정신분열
(환각, 피해 망상)
정신분열 & 우울증 정신분열
기간 2개월 3개월 1개월

 

분열정동장애의 진단기준

  분열정동장애 진단기준
1 정신분열증의 진단기준 1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주요 기분 삽화(주요 우울 또는 조증)가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2 평생의 유병 기간 동안 주요 기분 삽화(주요 우울 또는 조증)가 없을 때에도 2주 이상의 망상이나 환각이 나타나야 한다.
3 주요 기분 삽화의 기준에 맞는 증상들이 병의 활성기와 잔류기를 포함한 전체 기간 중 대부분 동안 존재해야 한다.
4 이러한 장해가 물질(남용 약물, 치료 약물)의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정신분열증의 진단기준

http://karapko.tistory.com/76

 

분열정동장애의 임상적 특성

- 유병률은 0.3~0.8%로 정신분열증보다 드물며 여성의 비율이 높다.

- 정신과 입원환자들의 약 3~5%가 조증을 동반한 분열정동장애이다.

- 양극형은 초기 성인기에, 우울형은 후기 성인기에 흔히 나타난다.

- 충격이 심한 갑작스러운 환경적 스트레스 사건으로 인해 급작스럽게 발병한다.

- 정신분열증보다는 예후가 좋고 기분장애보다는 나쁘다.

- 발병시기가 빠르고 심한 정서적 혼란을 나타내며 자살위험이 높다.

- 남성 환자는 반사회적 행동 및 현저하게 부적절하거나 감퇴된 정서를 보이기 쉽다.

- 정신분열증 증상이 많을수록 예후가 나쁘고, 만성화될수록 조현병과 유사한 경과를 보인다.

- 사회적 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자기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 병전 적응상태가 양호하나 만성적인 경향이 있다.

- 정신분열증의 가족력은 없지만 기분장애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분열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의 차이

분열정동장애 정신분열증
- 활성기 증상과 기분 삽화가 동시에 나타나며 기분 증상이 전체 이환기의 상당 기간 지속됨
- 현저한 기분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망상, 환각이 2주 정도 존재함
- 잔류 증상이나 음성 증상이 덜 심하고 덜 만성적임
- 기분 증상은 전체 *이환기에 비해 짧고 전구기나 잔류기에만 나타나며 기분 삽화의 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않음


- 정신증적 증상이 기분장해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면, 정신증적 양상이 있는 기분 장애로 진단함

* 이환기란? 활성기나 잔류기의 정신증적 증상이 계속 지속되는 기간

 

분열정동장애의 치료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방법을 경험적으로 결정해야 하고, 명확한 목표 증상을 설정하여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약물치료

- 장애의 급성적 증상을 줄이고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항정신제 약물치료가 우선된다.

- 장애에 수반되는 조증이나 우울증의 경우 리튬이나 기분 안정제 또는 항울제가 사용된다.

 

심리치료

- 환자의 초기 증상을 살펴보고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여러 요인들을 평가하여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 약물치료의 기간 및 복용에 대한 중요성을 교육한다.


참고: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2(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