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피부 벗기기 장애(Skin-Picking Disorder)

by 감사와 기쁨 2022. 8. 31.
반응형

피부 벗기기 장애의 개념

- 피부 벗기기 장애는 반복적으로 피부를 벗기거나 뜯음으로써 피부를 손상시키는 행동을 반복하는 장애를 말한다.

- 이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피부 벗기는 행동을 줄이거나 그만두기 위해 노력하지만 매번 실패하게 된다.

 

피부 벗기기 장애의 주요 증상 및 진단기준

- 피부를 벗기거나 뜯는 피부 손상 행동을 반복한다.

- 강박적 피부 뜯기를 한다.

- 피부를 만지고 문지르고 긁고 뜯고 쑤신다.

- 얼굴, , 다리, 입술, 허벅지, 손톱, 발톱 등을 뜯는다.

- 피부 벗기는 행동을 줄이거나 그만두기 위해 노력하지만 매번 실패한다.

- 스스로 심각한 고통을 받지만 조절하지 못한다.

- 불안, 긴장,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증상이 증가한다.

- 대부분 집중되는 부위가 있지만 그 부위의 상처가 낫는 동안에 다른 부위로 옮겨가기도 한다.

- 하루에 짧게 여러 번 나타나지만 때로는 몇 시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 보통 손톱을 이용해서 피부를 벗기거나 뜯으며 핀셋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 상처 뿐만 아니라 죄책감이나 수치심과 같은 심리적 고통이 수반되며 자해행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 피부 벗기기 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 12%가 자살에 관한 생각을 하며, 11.5%가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고, 15%는 정신과 병원에 입원한다.

 

피부 벗기기 장애의 임상적 특징

- 평생 유병률은 1.4% 이상이다.

- 환자들의 75%가 여성이다.

- 여성의 5.8%, 남성의 2.0%가 심한 피부 벗기기 행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울증, 불안장애, 섭식장애, 물질사용장애 등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함께 지닌다.

- 대부분 청소년기에 여드름이 생기면서 시작된다.

- 청소년기 이후에는 30~45세 사이에 주로 발병한다.

- 부부갈등, 가족의 사망, 원치 않는 임신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이 촉발 요인으로 작용한다.

 

피부 벗기기 장애의 원인

정신역동적 입장

- 미해결된 아동기의 정서적 문제와 관련된다.

- 특히 권위적인 부모에 대한 억압된 분노의 표현이다.

 

인지행동적 입장

- 피부 벗기기 행동은 스트레스에 대한 일종의 대처방식이다.

- 피부 벗기기 행동은 자기-진정하기와 자극하기의 양면적 효과를 통해서 적정한 수준의 각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기-진정하기

스트레스로 인한 흥분된 각성 수준을 피부 벗기기 행동을 통해 감소시킨다.

 

자극하기

반복적인 활동을 하거나 지루함을 느낄 때에도 피부 벗기기 행동이 증가된다.

피부 벗기기를 통해 신경계를 자극함으로써 각성 수준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 여드름 피부 문제 피부 만지고 벗기기 습관화 자기-진정하기와 자극하기 보상을 통해 강박적 피부 벗기기 행동으로 발전

 

생물의학적 입장

-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피부벗기기 충동과 관련된다.

 

완벽주의적 성향

- 거울 앞에서 자신의 얼굴, 피부를 몇 시간씩 세밀하게 살펴보는 경향이 있다.

- 피부 문제에 대한 강렬한 집착으로 인해 피부 벗기기 행동이 악순환된다.

 

피부 벗기기 장애의 치료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약물치료 항우울제(SSRI)
행동치료 자기관찰법
- 행동 횟수나 상황을 기록하여 증상을 자각하게 한다.


습관반전법
- 피부 벗기는 충동이 일어날 때 다른 행동을 하도록 한다.
- 피부 벗기기를 동시에 할 수 없는 경쟁반응을 하도록 학습시킨다.
  예) 구슬 꿰기, 장난감 만지기, 뜨개질하기 등


자극 통제
- 충동을 느끼는 상황이나 심리적 상태를 확인하여 회피하도록 돕는다.
  예) 거울 앞에 있을 때 자주 나타나면 거울을 없애거나 가리도록 한다.

참고: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앤북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