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주양육자간의 안정된 애착형성은 건강한 심신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애착 장애의 두 유형
반응성 애착장애 | 관계를 두려워하거나 회피하는 억제형 장애이다. |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 누구에게나 부적절하게 친밀함을 나타내는 탈 억제형 장애이다. |
반응성 애착 장애의 개념
5세 이전에 시작되는 대표적인 영유아기 장애로, 아이가 애착 대상에게 의지하지 않으며 아이의 다양한 발달을 지연시키는 장애이다.
주요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양육자와의 애착 외상으로 인한 부적절한 위축된 대인관계로 인해 괴로움을 느낄 때에도 양육자에게 위안을 구하지 않으며 양육자의 위안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 타인에게 사회적 무반응, 긍정 정서의 부족, 양육자에게 짜증이나 공포 반응을 나타내는 등의 사회적‧정서적 장애를 나타낸다.
- 기본 정서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사회적 방임이나 박탈을 경험했다.
- 주된 양육자가 자주 바뀌어 안정 애착을 형성하지 못했다.
- 제대로 양육 받지 못한 극단적 경험인 애착 외상이 있다.
- 부모의 이혼이나 가정불화, 우울증을 비롯한 어머니의 정신장애, 고아원 생활 등으로 생애 초기에 양육자로부터 충분한 애정을 받지 못하거나 학대 또는 방임 상태로 양육되면서 나타난다.
- 이러한 증상이 5세 이전에 나타나야 한다.
반응성 애착 장애의 원인
- 애착 외상이라는 비교적 분명한 환경적 촉발 요인이 있다.
- 애착 외상을 겪은 아이가 모두 반응성 애착장애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이의 기질적 특성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이러한 장애가 발생하는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정신분석적 입장 | 애착대상의 상실경험으로 인한 일종의 우울증 때문이다. |
대상관계입장 | 실망과 좌절로 애착 노력을 포기하는 탈애착 때문이다. |
기질 | 선천적 과민성으로 인해 양육자의 학대나 방임을 유발하거나 애착 결핍에 대한 과도한 좌절을 겪으며 위축된 회피적 행동 때문이다. |
반응성 애착 장애의 치료
- 양육자와의 애착관계를 개선한다.
- 양육자의 정서적 감수성과 반응성 증진, 새로운 양육자의 제공, 긍정적인 정서적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 애착을 형성한다.
- 놀이치료가 효과적이다.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개념
애착 외상을 경험한 아동이 낯선 성인에게 과도한 친밀감을 표현하며 접근하는 무분별한 사회성 장애이다.
주요증상 및 진단기준
- 낯선 성인에게 접근하여 주저 없이 대한다.
- 지나치게 친밀한 행동을 나타낸다.
- 낯선 상황에서도 양육자의 존재를 확인하지 않는다.
- 낯선 성인을 망설임 없이 따라 나선다.
- 생후 9개월부터 진단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다른 문제행동을 나타낸다.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의 임상적 특징
- 장애의 유병률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 친부모의 심한 학대나 방임으로 인해 입양되거나 고아원에서 성장한 아동의 약 20%가 이 장애를 나타낸다.
- 사회적 충동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유사하지만, 주의집중 곤란과 과잉행동은 나타나지 않는다.
- 인지적, 언어적 발달이 지연된다.
- 동일한 행동을 반복하는 상동 행동증을 보인다.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의 원인
- 반응성 애착장애와 마찬가지로 애착 상이라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촉발된다.
- 선천적 성향이 애착 외상에 대한 반응 차이를 발생시킨다.
- 선천적 내향성과 과민성은 반응성 애착 장애를, 선천적 외향성과 자극 추구 기질은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를 나타낸다.
- 외로움과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기제의 작용으로, 낯선 사람에게 과도한 친밀감을 나타내면서 가짜 위안을 얻으려는 노력이다.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의 치료
- 한 명의 양육자와 친밀한 애착관계를 형성시킨다.
- 양육자의 정서적 감수성과 반응성을 증진시키고 애정과 관심을 줄 수 있는 한 명의 양육자를 제공한다.
참고: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리장애/해리성 기억상실증(심인성 기억상실증) (2) | 2022.09.01 |
---|---|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증상, 진단기준, 원인 및 치료 (0) | 2022.09.01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증상 및 진단기준, 특징, 원인, 치료 (4) | 2022.08.31 |
피부 벗기기 장애(Skin-Picking Disorder) (2) | 2022.08.31 |
모발 뽑기 장애/충동조절장애의 증상, 진단기준, 특징, 원인, 치료 (2) | 2022.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