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편집성 성격장애(A군 성격장애)의 증상 및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by 감사와 기쁨 2022. 9. 6.
반응형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의 개념

타인에 대한 강한 불신과 의심을 지니고 적대적인 태도를 나타내어 사회적인 부적응이 초래되는 성격장애이다.

 

편집성 성격장애의 증상 및 임상적 특징

- 유병률은 일반 인구의 0.5~2.5%, 정신과 입원 환자의 10~30%이다.

- 여성보다 남성에게 많으며 소수민족, 이민자, 청각장애인의 발병률이 높다.

- 집안에 정신분열증 환자가 있을 경우 대조군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 다른 성격장애와 관련성이 높아 분열형, 분열성, 자기애성, 회피성, 경계성 성격장애 요소를 함께 지니는 경우가 많다.

- 아동기와 청소년기부터 징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타인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가 부족하다.

- 친구관계가 빈약하고 사회현상에 불만을 갖고 있으며 과민하고 특이한 공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 자신의 감정에 대한 책임을 부정하며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고 적대적이며 화를 잘 낸다.

- 고집불통이고 편향된 정보를 수집하며 배우자를 병적으로 의심한다.

- 다른 사람의 행동이 매우 위협적이며 속이는 행동이라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 매우 논쟁적이고 자신을 학대했다고 믿는 사람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송을 제기한다.

- 특히 직업적인 문제와 결혼생활에서의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 현실적인 비판이나 자신이 상상해서 만들어 낸 비판에 과도하게 민감해서 아주 작은 비판에도 공격적이 된다.

- 자신의 개인 정보가 자신을 반대하거나 비판할 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비밀 얘기를 하지 않으려고 한다.

- 우정 및 사회적 관계의 진실성, 신실함에 대해 의문을 갖는다.

- 다른 사람들의 미소나 힐끔 쳐다보는 것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본다.

 

편집성 성격장애의 진단기준

  편집성 성격장애 진단기준
1 다른 사람의 동기를 악의에 찬 것으로 해석하는 등 타인에 대한 광범위한 불신과 의심의 증상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켜야 한다.
충분한 근거 없이, 타인이 자신을 관찰, 착취, 가해, 기만한다고 의심한다.
친구들이나 동료들의 충정이나 신뢰에 대해 부당한 의심에 사로잡혀 있다.
자신이 악의적으로 이용될 것에 대한 부당한 공포를 지닌다.
악의 없는 말이나 사건에 대해 자신의 품위를 손상시키거나 위협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자신에 대한 모욕, 손상, 경멸을 용서하지 않으며 원한을 오랫동안 지니면서 보복한다.
자신의 인격이나 명성이 공격당했다고 인식하고 반격한다.
정당한 이유 없이 배우자나 애인의 정절에 대해 반복적으로 의심한다.
2 정신분열증,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양극성장애 또는 우울장애,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여기에 포함시키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편집성 성격장애의 원인

- 무의식적인 동성애적 욕구에 대한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 부인, 투사, 반동 형성의 방어 기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의 가학적 양육 경험으로 기본적 신뢰가 결여되어 자신과 타인에 대해 가학적 태도가 내면화되었기 때문이다.

- 사람들은 악의적이고 기만적이며 호시탐탐 공격의 기회를 노리고 있기 때문에, 긴장하고 경계해야만 피해가 없을 것이라는 독특한 신념과 사고 과정 때문이다.

 

편집성 성격장애의 치료

성격장애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뿌리 깊은 성격적 문제이므로 수정과 변화가 쉽지 않고 자신의 성격 문제가 아닌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의 문제로 찾아오기 때문에 저항이 심해 치료자와 내담자 간의 신뢰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지만, 심리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다.

 

심리치료

- 먼저 내담자의 부정적 감정을 수용하고 내면적 갈등을 공감적으로 탐색함으로 신뢰감을 심어준다.

- 환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현실적인 자신감을 갖도록 하면서 경계와 방어를 줄이도록 도와준다.

- 치료자가 솔직하고 개방적인 자세를 취함으로 환자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게 한다.

- 타인의 의도와 행동에 대한 현실적인 지각을 발달시키고 타인의 관점에서 지각할 수 있도록 훈련을 병행한다.

- 자신이 겪고 있는 문제와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이 자신에게 있음을 자각하고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약물치료

불안과 초조를 다루는 항불안제를 사용하거나 망상적 사고가 나타날 경우에는 항정신병제를 소량 투여한다.


참고: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013.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김청송(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안창일 편(2019). 이상심리학. 학지사.

         Jeffrey S. Nevid 2(2016). 이상심리학. 박학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