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적 조건화의 개념
• 외부 자극과 자신의 행동 간에 조건화된 학습을 말한다.
• Thorndike는 고양이를 상자에 넣고 고양이가 페달을 밟으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하여 학습이 조건화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Skinner는 비둘기 실험에서 초록색 막대기를 부리로 쪼을 때마다 보상을 주었더니 비둘기가 색깔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 조건화란 보상이 주어지거나 긍정적 강화를 받을 때 더 잘 형성된다는 것이다.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의 차이점
Pavlov의 개 | · 수동적으로 벨소리를 듣고 먹이를 얻어 ‘벨소리=먹이’ 라는 자극 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만을 했다. · 침을 흘리는 행동은 수동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
Thorndike의 고양이 | · 능동적으로 페달을 밟아 먹이를 얻음으로써 ‘페달 밟음=먹이’라는 자극과 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학습했다. |
Skinner 이론 | · 먹이라는 긍정적 보상이 색깔을 구분하는 행동을 강화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다른 사람이 도와주었을 때 ‘고맙다’고 답해주거나, 자녀가 학교에서 잘 생활하고 있을 때 잘하는 점을 칭찬하는 것은 그러한 행동을 계속하도록 강화하는 좋은 예가 된다. |
조작적 조건형성에서의 주요 개념
조성
• 스키너 상자실험에서 중요한 것은 비둘기가 초록색 막대기를 부리로 쪼을 때까지 그냥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보다 빨리 목표행동에 도달할 수 있도록 근접행동이 나올 때마다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 목표행동에 접근하는 반응들을 세분해서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계기적 근사법에 의해 새로운 행동을 가르치는 기법이다.
강화계획
• 행동에 대하여 강화의 제시나 중단을 지시하는 규칙 또는 절차이다.
• 반응에 대한 강화를 어떤 방법으로 해주느냐를 규칙화한 것이다.
• 소멸을 방지하여 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적 차원과 반응 수의 차원을 고려해서 구성한 것이다.
예) 모든 반응을 강화할 수도 있고, 5분이 지난 뒤의 반응이나 100번째 반응에 대하여 강화할 수도 있다.
• 시간과 반응 수를 고려한 강화계획은 매우 다양하다.
연속적 강화 | 실험자가 원하는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즉시 강화해 주는 방법 |
간헐적 강화 | 원하는 행동 중 일부 행동에 한해서만 강화해 주는 방법 |
고정간격 강화계획 |
·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아무리 반응을 해도 보상이 주어지지 않는 강화계획 · 시간 간격이 길수록 반응 빈도는 낮아진다. 예) 직장에서 1개월의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뒤에 주어지는 월급 |
고정비율 강화계획 |
· 일정한 횟수의 반응이 있은 후에 보상이 주어지는 강화계획 예) 공장에서 완제품을 일정한 수만큼 만들었을 때마다 주어지는 특정한 액수의 보수 |
변동간격 강화계획 |
· 평균적으로는 일정한 시간에 강화를 해주기는 하지만, 강화를 해주는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강화계획 예) 낚시꾼이 고기가 언제 물릴지 모르면서 하루 종일 앉아 있는 것 |
변동비율 강화계획 |
· 평균적으로는 일정한 반응 비율에 따라 강화를 해주지만, 강화를 해주는 반응 횟수는 일정하게 맞추지 않은 강화계획 · 강화와 강화간의 반응 횟수가 어떤 평균치를 중심으로 변동하는 것 예) 계속 도박을 하게 되면 생각지 못한 순간에 한 번씩 돈을 얻게 된다고 생각한다. |
형성(shaping)
• 강화를 받은 모든 행동이 모여서 바람직한 행동을 이루게 되는 것을 말한다.
• 실험자 또는 치료자가 원하는 방향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반응들만을 강화해서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습득하도록 하고, 원하지 않는 방향의 행동에 대해서는 전혀 강화를 받지 못하도록 하여 결국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인본주의 이론 (0) | 2023.02.04 |
---|---|
도덕발달 이론/피아제(Piaget),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수준 (0) | 2023.02.03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2) | 2023.02.01 |
고전적 조건화/강화, 소거, 자발적 회복, 일반화와 분화, 변별 (0) | 2023.02.01 |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의 발달단계 (0)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