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자아 개념/자기 인식, 자아개념의 범주, 자아 개념의 발달 과정, 자아 개념의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by 감사와 기쁨 2022. 10. 5.
반응형

자아 개념이란, 나는 누구이며 무엇인가를 깨닫는 것으로, 신체적 특징, 개인적 기술, 특성, 가치관, 희망, 역할, 사회적 신분 등을 포함한 의미이다.

 

자기 인식

- 자신에 대한 이해는 자기 인식에서 출발한다.

- 자기 인식의 발달은 영아가 다른 대상과 구분되는 독립된 실체로서 자신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 자기 인식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수준의 인지발달이 요구되며 사회적 경험 또한 매우 중요하다.

- 자기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경험은 엄마(주양육자)와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이다.

 

자아 개념의 범주

자신의 능력, 신분,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인 전체적 자아 개념

순간적인 기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일시적인 자아 개념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자신을 평가하는 사회적 자아 개념

자신이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이상적 자아 개념

 

자아 개념의 발달 과정

 

  • 2세경 영아

- 자신이 다른 사람과 분리된 실체라는 사실을 깨닫기는 하지만, 자아 개념은 매우 피상적(본질보다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현상에만 관계)이라서 자신이 좋아하는 행동으로 자신을 묘사한다.

 

  • 아동기

- 자신이 가진 개인적 특성으로 자신을 묘사하기 시작하여, 자신의 신체적 특성, 소유물, 활동, 능력과 관련시켜 자신을 규정한다.

- 아동이 성숙해감에 따라 자아 개념은 점차 안정적, 추상적, 분화된 개념으로 발달한다.

아동기 초 자신의 신체적 특성이나 소유물, 좋아하는 놀이활동 등을 통해 자신을 묘사한다.
아동기 말 심리적 특성이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자신을 묘사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기 이해가 증가하고 다양해진다.

- 나이 든 아동은 어휘력의 증가와 다양한 경험의 결과로 인해 어린 아동보다 자신을 묘사하는데 더 다양한 범주를 사용한다.

-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기 이해는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변화하며 발달한다.

-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신의 의지, 심리 유형, 이념과 신념 체제, 개인실물과 같은 추상적, 심리적, 내면적인 용어로 자아를 묘사하고, 어린 아동일수록 행위나 행동과 같은 구체적인 용어로 자아를 묘사한다.

-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적 자아와 활동적 자아에 대한 자기 묘사는 감소하고, 사회적 자아와 심리적 자아의 묘사가 증가한다.

 

자아 개념의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종단연구 결과)

또래 7세에서 16(청소년기 이전부터 청소년 중기)까지의 자아개념 발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부모 7세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10 세에 이르러 또래와 비슷한 수준으로 영향을 보이다가 청소년 중기인 16세에서 다시 감소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