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 개념이란, 나는 누구이며 무엇인가를 깨닫는 것으로, 신체적 특징, 개인적 기술, 특성, 가치관, 희망, 역할, 사회적 신분 등을 포함한 의미이다.
자기 인식
- 자신에 대한 이해는 자기 인식에서 출발한다.
- 자기 인식의 발달은 영아가 다른 대상과 구분되는 독립된 실체로서 자신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 자기 인식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수준의 인지발달이 요구되며 사회적 경험 또한 매우 중요하다.
- 자기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경험은 엄마(주양육자)와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이다.
자아 개념의 범주
① 자신의 능력, 신분,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인 전체적 자아 개념
② 순간적인 기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일시적인 자아 개념
③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자신을 평가하는 사회적 자아 개념
④ 자신이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이상적 자아 개념
자아 개념의 발달 과정
- 2세경 영아
- 자신이 다른 사람과 분리된 실체라는 사실을 깨닫기는 하지만, 자아 개념은 매우 피상적(본질보다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현상에만 관계)이라서 자신이 좋아하는 행동으로 자신을 묘사한다.
- 아동기
- 자신이 가진 개인적 특성으로 자신을 묘사하기 시작하여, 자신의 신체적 특성, 소유물, 활동, 능력과 관련시켜 자신을 규정한다.
- 아동이 성숙해감에 따라 자아 개념은 점차 안정적, 추상적, 분화된 개념으로 발달한다.
아동기 초 | 자신의 신체적 특성이나 소유물, 좋아하는 놀이활동 등을 통해 자신을 묘사한다. |
아동기 말 | 심리적 특성이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자신을 묘사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기 이해가 증가하고 다양해진다. |
- 나이 든 아동은 어휘력의 증가와 다양한 경험의 결과로 인해 어린 아동보다 자신을 묘사하는데 더 다양한 범주를 사용한다.
-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기 이해는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변화하며 발달한다.
-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신의 의지, 심리 유형, 이념과 신념 체제, 개인・실물과 같은 추상적, 심리적, 내면적인 용어로 자아를 묘사하고, 어린 아동일수록 행위나 행동과 같은 구체적인 용어로 자아를 묘사한다.
-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적 자아와 활동적 자아에 대한 자기 묘사는 감소하고, 사회적 자아와 심리적 자아의 묘사가 증가한다.
자아 개념의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종단연구 결과)
또래 | 7세에서 16세(청소년기 이전부터 청소년 중기)까지의 자아개념 발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
부모 | 7세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10 세에 이르러 또래와 비슷한 수준으로 영향을 보이다가 청소년 중기인 16세에서 다시 감소한다. |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효능감/학습된 무력감/자기 통제/사회인지와 타인이해/사회적 역할수용의 발달단계 (0) | 2022.10.05 |
---|---|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의 개념, 중요성, 발달 과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22.10.05 |
아동기의 인지 양식/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 장의존성과 장독립성, 신중성과 충동성 (2) | 2022.10.05 |
아동기 비만/비만의 원인, 비만 아동의 문제, 해결방안 (2) | 2022.10.04 |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발달/아이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 친사회적 행동을 발달시키기 위한 부모의 역할, 연령에 따른 공격성 발달의 특징, 유아의 공격성 통제를 위한 지도 방안 (2)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