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자기효능감/학습된 무력감/자기 통제/사회인지와 타인이해/사회적 역할수용의 발달단계

by 감사와 기쁨 2022. 10. 5.
반응형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 자기 효능감의 개념

자신이 스스로 상황을 극복할 수 있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나 기대이다.

 

  • 자기 효능감의 기능

- 높은 자기 효능감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촉진하고 지속적으로 과제지향적 노력을 하게 하여 높은 성취 수준에 도달하게 한다.

- 낮은 자기 효능감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하여 자신감이 결여되고 성취지향적 행동을 위축시킨다.

 

  • 자기 효능감의 발달

- 자기 효능감은 아동기에 증가한다.

- 아동은 특정과제에서 성공이나 실패의 경험에 비추어 특정 영역에서 자신이 얼마나 잘할 수 있는지를 예견할 수 있다.

 

  • 학습된 무력감

- 계속되는 실패의 경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자신이 아무리 노력해도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느끼게 되는 것이다.

- 낮은 자기 효능감은 극단적인 경우에 자신은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학습된 무력감을 갖게 만든다.

- 학습된 무력감은 어떤 과제가 주어졌을 때 시도도 해보지 않고 포기해 버리게 하며,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자신의 잠재력을 거의 발휘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게 만든다.

 

자기 통제(Self-Control)

 

  • 자기 통제의 개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순간의 충동적인 욕구나 행동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자기 통제 능력의 구성요소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 만족을 지연하는 능력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

 

  • 자기 통제의 발달에 관한 가정

- 아동의 행동은 대부분 부모나 교사 등의 외적인 감독에 의해 통제된다.

- 아동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기통제의 가치를 강조하는 규준을 채택하게 되고, 규준을 따르게 해주는 자기 규제의 기술을 습득함에 따라 자기 통제가 점차 내면화되어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된다.

 

  • 자기 통제 능력이 아동기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이유

- 아동이 인지적으로 성숙함에 따라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규제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전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아동이 자기 규제와 자기 통제의 가치를 강조하는 규준을 내면화하기 때문이다.

 

  • 아동의 자기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신중성

- 아동의 신중성이 높을수록 자기 통제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 상황을 검토하고 심사숙고해서 상황적 요구에 대응하며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는 신중성이 자기 통제를 높인다.

 

사회적 자아개념

- 자신에 대해 친구와 잘 어울리며 친구관계에 잘 적응한다고 지각하는 아동은 자기 통제가 높다.

- 부모가 아동에게 권위주의적이고 통제를 많이 할수록 아동의 자기 통제는 더 낮아진다.

 

사회인지와 타인이해

 

  • 사회인지(Social Cognition)의 개념

사회적 관계 즉, 다른 사람의 감정, 생각, 의도, 사회적 행동들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 사회적 역할 수용의 발달단계(Selman, 1980)

역할 수용이란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그 기분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역할 수용 능력은 자신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도 하는데, 역할수용 능력이 뛰어난 아동은 친구의 욕구에 민감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줄 안다.

단  계 내                      용
자기중심적 미분화 단계
(3~6)
자신의 입장과 다른 사람의 입장을 구별하지 못함
어떤 상황에서 상대방이 어떻게 느끼겠는가를 물어보면 자신의 느낌을 말함
주관적 역할수용 단계
(6~8)
다른 사람들은 다른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고 깨닫기 시작하지만 왜 그런지는 이해하지 못함
의도적 행동과 비의도적 행동의 구분과 행동의 원인을 생각하기 시작함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진짜 감정을 숨길 수도 있다는 사실은 깨닫지 못함
단지 눈에 보이는 사실에 근거해서 결론을 내림
상호적 역할수용 단계
(8~10)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어떤 관점이든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음
다른 사람의 관점도 자신의 관점과 마찬가지로 옳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됨
3자의 입장은 배제된 양자관계의 상호성이라는 특징을 가짐
3 자적 역할수용 단계
(10~12)
자신의 관점, 상대방의 관점, 3자의 관점까지도 이해할 수 있음
3자의 입장에서 자신을 주체와 객체로서 바라볼 수 있음
(3자의 입장에서 두 사람의 관계를 바라볼 수 있음)
사회관습적 역할수용 단계
(12~성인)
상호적 역할수용도 언제나 다른 사람을 완전히 이해하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달음
모든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관습적·법적·도덕적 관점의 복합적·상호적 역할수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음
(상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편적인 타자 또는 사회제도의 관점을 고려하게 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