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문제행동의 개념, 정의,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기준, 문제행동에 대한 주관적 평가 척도

by 감사와 기쁨 2022. 12. 2.
반응형

문제행동의 개념

1950년대 초기까지는 사회적 부적응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다가 프로이드(Freud)의 심리학적 영향을 받아 1950년대 이후 정서장애라는 용어로 바뀌었으며, 1960년대 후기 행동주의의 출현과 함께 문제행동이라는 용어가 강조되었다. 행동문제의 개념이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이상행동 또는 부적응행동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문제행동의 정의

행동양식이 정상기준에서 벗어난 일상생활에서의 부적응행동

발달에는 각 단계마다 성취해야 하는 중요한 발달과업들이 있는데, 이러한 과업들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동의 능력이나 잠재력 계발이 방해를 받고 결국 적응적이지 못한 상태가 된다.

정상적인 발달을 벗어나 정상적 행동이 왜곡되거나 중요한 행동이 발달되지 못함으로써 행동문제가 발생한다.

행동장애, 발달장애, 발달정신병리, 부적응, 부적응행동, 심리문제, 이상행동 등이 있다.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기준(Kazdin, 1980)

사회문화적 기준 사회적 규범을 어기는 행동을 하는 경우
통계적 기준 평균으로부터 2표준편차 떨어진 경우
주관적이 불편감 호소 주관적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
절대적 기준 어떤 행동 특성을 나타내면 언제나 이상행동이라고 정의하고 어떤 행동은 어떠한 경우에도 정상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이 존재
병리적 기준 DSM-5의 진단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예측 불가능성 예측하기 어려운 행동이 나타나는 경우
적응성 자신이 처해있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문제행동에 대한 주관적 평가 척도

문제행동에 대한 주관적 평가 척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