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자기효능감의 개념
어떤 행동을 실행하거나 어떤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는 주관적 판단을 말한다.
자기효능감은 얼마나 많은 것을 학습하고 성취하는가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정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기효능감의 영향 요인
효능 기대(efficacy expectation)
수행 수준을 달성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어떤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
도록 한다.
결과 기대(outcome expectations)
어떤 행동으로 인해 특정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믿는 것을 말한다.
∙청소년 금연 프로그램에서 폐암 예방보다 담배 냄새에 더 반응하는 청소년은, 장기적 기대 결과 가치보다 단기적 기대 결과 가치가 금연 유도에 더 효과적이다. ∙운동을 하면 체중이 감소할 것이라는 믿음이 크면 운동을 열심히 한다. |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그 사건들이 다시 반복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실제로 상황이 닥치기 전에 행동 결과를 예상할 수 있게 한다.
자기 통제(self-control)
목표로 삼고 있는 행동을 개인이 스스로 규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스스로 통제할 수 있을 때에만 바람직한 행동이 학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속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행동의 자기 통제는 매우 중요하다.
자기 통제를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셀프 모니터링(Self-monitoring) 및 목표로 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는 요인
구분 | 긍정적(+) | 부정적(-) |
수행 경험 (performance accomplishment) |
성공 경험 | |
대리 경험 (vicarious experience) |
관찰, 기술 습득, 자신감 | |
언어적인 설득 (verbal persuasion) |
격려, 의미있는 타인으로부터의 긍정적 평가 |
비판 |
생리적 상태 (physiological state) |
건강 | 피로, 질병 |
자아존중감(self-esteem)
자아존중감의 정의
자기에 대한 정서를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자아 개념과 연관된 개인적인 가치감이다.
Rogenberg(1989)에 의하면, 자신이 지각한 하나의 특별한 객체인 자아 개념에 대한 태도 및 정의적 반응이다.
Coopersmith(1981)에 의하면, 자신을 얼마나 유능하고 유의미하며 성공적이고 가치있는 존재로 믿는지에 대한 정도로, 자신이 취하고 있는 가치적 판단 및 태도이다.
자아존중감의 종류
일반적 존중감 | 몸집, 생김새, 외모, 기능, 능력에 대한 존중감 |
사회적 존중감 | 또래, 급우, 친구에 대한 존중감 |
가정적 존중감 | 부모, 가족 등에 대한 존중감 |
학교・학업적 존중감 | 교사, 급우, 공부에 대한 존중감 |
높은 자기효능감과 낮은 자아존중감의 비교
높은 자기효능감 | 낮은 자아존중감 |
난 이걸 할 수 있어! 난 잘해낼 거야! |
난 잘하는 게 하나도 없어. 난 뚱뚱하고 못생겨서 아무도 날 좋아하지 않아. |
반응형
'심리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뭘 해도 행복한 사람과 불만인 사람의 말버릇/[세바시] 박재연 리플러스 인간연구소 소장 (2) | 2022.11.03 |
---|---|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정적 강화 (2) | 2022.10.23 |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의 특성/성폭력 유형 (4) | 2022.10.21 |
인지적 행동 수정/자녀를 괴롭히는 생각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방법 (2) | 2022.10.20 |
청소년 자살 이유/원인/특성 (0) | 2022.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