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학

설리반의 대인관계이론

by 감사와 기쁨 2023. 11. 10.
반응형

1) 특징

- 성격은 생리적 욕구와 사회적 안전감의 욕구에서 야기되는 긴장에 의해 결정

- 대인관계의 목표는 자기 체계를 확인하고 강화하기 위해 타인으로부터 자기 체계와 일치하는 반응을 유발하는 것

 

2) 주요개념

(1) 역동성

- 개인의 대인관계 및 정서적 기능을 특징짓는 비교적 지속적인 에너지변형의 패턴

- 역동성 에너지의 원천은 개인의 욕구에 있으며, 에너지 변형은 행동으로 나타남

-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개인의 행동 및 태도가 밖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아들러의 생 활양식과 유사

(2) 자기체계

- 자신에 대한 인식의 집합체이자 안정된 자기 표상

- 자신을 보호하고 정서적 안전감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작동기제(자기보호체계)

- 타인과의 접촉에서 타인에 의해 반영된 평가 혹은 자신이 타인에게 얼마나 가치 있게 여 겨지는지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발달

(3) 자기상 형성(자기의 정형화)

- 발달의 주요 결정요인은 상황에 따른 불안의 수준

- 유아는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여러 수준의 불안을 경험하며 그 과정에서 좋은 나’, ‘나 쁜 나’, ‘내가 아닌 나로 구성된 자기상을 형성함

 

 3) 타인과 교류하는 3가지 경험양식(소통방식)

원형적 경험
(미분화된 소통)
인생 초기의 원초적 경험
병렬적 경험
(현실괴리적 소통)
비논리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자기체계를 확증하기 위해 타인의 반 응을 편향된 방향으로 몰아가는 제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짐
정형화: 대인관계의 병렬적 왜곡을 통해 형성한 자기와 타인에 대한 경직된 심상
통합적 경험
(통합적 소통)
현실을 유연하게 수용하고 통합하는 성숙한 정서적 교류방식

 

반응형

댓글